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33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33


故次第八애 明事理不二라 卽事而眞인 야 用祛倒見也노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그럴 버거 第八애 事理 둘히 아니라 事애 나가 주001)
나가:
나아가. 여기서는 ‘卽’의 번역인데, ‘(事가) 곧’으로 옮기면 좋을 듯함.
眞인  겨  주002)
갓:
뒤바뀐. 거꾸로 된. 갓-[倒]+. ‘ㄹ’ 탈락.
주003)
견(見):
견해.
앗노라 주004)
앗노라:
없애노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그러므로 다음으로 제팔에 현상계[事]와 진리[理]가 둘이 아니라, 현상계에 나아가 진리인 것을 (현상계가 곧 진리인 것을) 밝혀 거꾸로 된 견해를 앗노라(없애노라).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倒見之徒 謂事理相隔이라 니 觀師ㅣ 云샤

선종영가집언해 상권:13ㄱ

 事外예 求理 二乘의 偏眞이오 照事의 卽理 菩薩ㅅ 大悟ㅣ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갓 見엣 무른 주005)
무른:
무리는. 물[群]+은.
事理 서르 리다 주006)
리다:
막혔다. 동사에 시제 표지가 없으면 과거시제로 해석됨.
니 觀師 주007)
관사(觀師):
징관법사. 당나라 스님. 화엄종 제4조.
ㅣ 니샤 일 밧긔 理ㅣ 求호 二乘 주008)
이승(二乘):
3승 중 성문승과 연각승.
의 기운 眞이오 이릐 주009)
이릐:
일의. 일+의(관형격조사). 서술어가 관형사형일 때에는 주격조사가 쓰일 자리에 관형격조사 ‘-의’가 쓰임.
곧 理ㄴ  照호 菩薩ㅅ 주010)
키:
크게. 크-[大]+이(부사화파생접미사). 약모음 ‘ㅡ’ 탈락.
아샤미라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거꾸로 된 소견의(을 가진) 무리는 현상계와 진리가 서로 막혔다 하니, 관사가 이르시되, “현상계 밖에서 진리를 구함은 이승의 기운(편벽된) 진리이고, 현상계가 곧 진리인 것을 비춤은 보살의 크게 아심이다.”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나가:나아가. 여기서는 ‘卽’의 번역인데, ‘(事가) 곧’으로 옮기면 좋을 듯함.
주002)
갓:뒤바뀐. 거꾸로 된. 갓-[倒]+. ‘ㄹ’ 탈락.
주003)
견(見):견해.
주004)
앗노라:없애노라.
주005)
무른:무리는. 물[群]+은.
주006)
리다:막혔다. 동사에 시제 표지가 없으면 과거시제로 해석됨.
주007)
관사(觀師):징관법사. 당나라 스님. 화엄종 제4조.
주008)
이승(二乘):3승 중 성문승과 연각승.
주009)
이릐:일의. 일+의(관형격조사). 서술어가 관형사형일 때에는 주격조사가 쓰일 자리에 관형격조사 ‘-의’가 쓰임.
주010)
키:크게. 크-[大]+이(부사화파생접미사). 약모음 ‘ㅡ’ 탈락.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