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4 사마타송(奢摩他頌)
  • 제4 사마타송 077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4 사마타송 077


復次初脩心人이 入門之後에 須識五念이니 一은 故起오 二 串習이오 三은 接續이오 四 別生이오 五 卽靜이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버거 주001)
버거:
다음으로. 벅-[次]+어.
처  닷 싸미 주002)
닷 싸미:
닦을 사람이. -[修]+(관형형어미)+사[人]+이(주격조사).
門의 든 後에 모로매 다 주003)
염(念):
주관인 마음이 객관인 대경을 마음에 분명히 기억하여 두고 잊지 않는 정신.
을 아로

선종영가집언해 상권:92ㄱ

리니 나 부러 주004)
부러:
일부러.
니와도미오 주005)
니와도미오:
일으킴이고. 닐-[起]+(사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오+ㅁ+이-+오/고.
둘흔 니구미오 주006)
니구미오:
익힘이고. 닉-[熟]+우+ㅁ+이-+오/고.
세흔 니미오 주007)
니미오:
이음이고. -[連]+우+ㅁ+이-+오/고.
네흔 各別히 나미오 다 곧 괴외호미라 주008)
괴외호미라:
고요함이다. 괴외+-[靜]+오+ㅁ+이-+라. 모음 ‘ㆍ’ 탈락.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또 다음으로 처음 마음을 닦을 사람이 문에 든 후에는 모름지기 다섯 가지 염을 알아야 할 것이니, 하나는 일부러 일으킴이요, 둘은 익힘이요, 셋은 이음이요, 넷은 각별히 생겨남이요, 다섯은 곧 고요함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㧾標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모도아 주009)
모도아:
모아. 몯-[合]+오(사동접미사)+아.
標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모아서 표하셨다.(말씀하신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버거:다음으로. 벅-[次]+어.
주002)
닷 싸미:닦을 사람이. -[修]+(관형형어미)+사[人]+이(주격조사).
주003)
염(念):주관인 마음이 객관인 대경을 마음에 분명히 기억하여 두고 잊지 않는 정신.
주004)
부러:일부러.
주005)
니와도미오:일으킴이고. 닐-[起]+(사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오+ㅁ+이-+오/고.
주006)
니구미오:익힘이고. 닉-[熟]+우+ㅁ+이-+오/고.
주007)
니미오:이음이고. -[連]+우+ㅁ+이-+오/고.
주008)
괴외호미라:고요함이다. 괴외+-[靜]+오+ㅁ+이-+라. 모음 ‘ㆍ’ 탈락.
주009)
모도아:모아. 몯-[合]+오(사동접미사)+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