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3 정수삼업(淨修三業)
  • 제3 정수삼업 026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3 정수삼업 026


是我身者 四大五陰이라 一一非我ㅣ며 和合도 亦無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 내 모 四大 주001)
사대(四大):
사대종(四大種)의 약칭. 물질계를 구성하는 사대 원소로서 지(地)·수(水)·화(火)·풍(風)을 말함. 대종이라 함은 체(體)와 상(相)과 용(用)이 모두 커서 물질계의 원인이 된다는 뜻.
五陰 주002)
오음(五陰):
오온(五蘊)을 말함. 온(蘊)은 모아 쌓은 것이란 뜻으로 무릇 생멸하고 변화하는 것을 종류대로 모아서 오종으로 구별함. 색온(色蘊)과 수온(受蘊)과 상온(想蘊)과 행온(行蘊)과 식온(識薀)을 말함.
이라 나치 주003)
나치:
낱낱이. (←낯)+낯+이. 비음화하여 ㄴ이 기대되는 위치에 이 표기됨.
내 아니며 和合도  업스니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 내 몸은 사대와 오음이므로 낱낱이 내가 아니며 화합도 또 없으니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反覆推尋컨댄 而無其我니 若皆是我댄 我則百千이라 一身之中에 多主야 紛亂리니 是以로 一一히 悉皆非我ㅣ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드위힐훠 주004)
드위힐훠:
반복하여. 되풀이하여. 드위힐후-[反覆]+어.
推尋컨댄 내 업스니 다가 다 이 낸댄 내 百千이라 一身 中에 님자히 주005)
님자히:
임자가. 주인이. 님자ㅎ+이(주격조사).
주006)
하:
많이. 하-[多]+아. ≪석보상절≫ 등 초기 문헌에서는 이 같은 환경에서도 어미 ‘-아’가 실현되었으나 ≪월인석보≫ 이후로는 생략됨.
어즈러우리니 이런로 나치 다 내 아니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반복하여 미루어 살피건대 내가 없으니, 만약에 다 이것이 나라면 내가 백이요 천이기 때문에 한 몸 가운데 임자가 많아서 어지러우리니 이러므로 낱낱이 다 내가 아니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대(四大):사대종(四大種)의 약칭. 물질계를 구성하는 사대 원소로서 지(地)·수(水)·화(火)·풍(風)을 말함. 대종이라 함은 체(體)와 상(相)과 용(用)이 모두 커서 물질계의 원인이 된다는 뜻.
주002)
오음(五陰):오온(五蘊)을 말함. 온(蘊)은 모아 쌓은 것이란 뜻으로 무릇 생멸하고 변화하는 것을 종류대로 모아서 오종으로 구별함. 색온(色蘊)과 수온(受蘊)과 상온(想蘊)과 행온(行蘊)과 식온(識薀)을 말함.
주003)
나치:낱낱이. (←낯)+낯+이. 비음화하여 ㄴ이 기대되는 위치에 이 표기됨.
주004)
드위힐훠:반복하여. 되풀이하여. 드위힐후-[反覆]+어.
주005)
님자히:임자가. 주인이. 님자ㅎ+이(주격조사).
주006)
하:많이. 하-[多]+아. ≪석보상절≫ 등 초기 문헌에서는 이 같은 환경에서도 어미 ‘-아’가 실현되었으나 ≪월인석보≫ 이후로는 생략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