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28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28


自解ㅣ 雖明나 悲他의 未悟ㅣ니 悟有淺深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주001)
내:
자기 자신의. 주격은 ‘·내’(거성), 관형격은 ‘내’(평성)로 실현됨.
아로미 주002)
아로미:
앎이. 알-[解]+오+ㅁ+이.
비록 나  아디 몯호 슬홀띠니 주003)
슬홀띠니:
슬퍼해야 할 것이니. 슳-[悲]+오+ㄹㆆ++ㅣ-+니.
아로미 淺深이 이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자신의 앎이 비록 밝으나 남의 알지 못함을 슬퍼할지니, 앎이 얕고 깊음이 있으므로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悟之淺深은 有共과 不共과 니 下文에 自顯일 不預言乎ㅣ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아로 淺深 주004)
공(共):
함께함.
不共괘 주005)
불공(不共)괘:
함께하지 않음이. 중세국어에서는 체언이 접속될 때 마지막 체언 뒤에도 접속조사가 쓰임. 불공+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잇니 下文에 주006)
제:
제가. 저[自](평성)+ㅣ(주격조사.거성)→:제(상성). 관형격의 ‘제’는 평성임.
顯릴 미리 니디 아니홀띠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앎의 얕고 깊음은 함께 함과 함께 하지 않음이 있나니, 아래의 글에서 저절로 나타날 것이므로 미리 말하지 아니할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내:자기 자신의. 주격은 ‘·내’(거성), 관형격은 ‘내’(평성)로 실현됨.
주002)
아로미:앎이. 알-[解]+오+ㅁ+이.
주003)
슬홀띠니:슬퍼해야 할 것이니. 슳-[悲]+오+ㄹㆆ++ㅣ-+니.
주004)
공(共):함께함.
주005)
불공(不共)괘:함께하지 않음이. 중세국어에서는 체언이 접속될 때 마지막 체언 뒤에도 접속조사가 쓰임. 불공+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주006)
제:제가. 저[自](평성)+ㅣ(주격조사.거성)→:제(상성). 관형격의 ‘제’는 평성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