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3 정수삼업(淨修三業)
  • 제3 정수삼업 038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3 정수삼업 038


深自思惟호 口之四過 生死根本이니 增長衆惡고 傾覆萬行야 遞相是非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기피 내 호 이븨 네 허므른 生死ㅅ 根本이니 여러 惡 길우고 주001)
길우고:
자라게 하고. 길-[長]+우(사동접미사)+고.
萬行 드위텨 주002)
드위텨:
뒤집어. 드위-[覆]+티(강세접미사)+어.
려 서르 올타 외다 주003)
외다:
그르다. 외-[非]+다.
니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깊이 내가 생각하되, 입의 네 가지 허물은 생사의 근본이니 여러 악을 자라게 하고 만행을 뒤집어 버려서 서로 옳다 그르다 하나니,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此애 摠荅시고 下애 別荅시니라 生死ㅣ 不息은 由行四邪야 牙相誑言야 是非不斷일라 寶積에 問오 云何離誑이고 荅샤 諦思後에 言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 모도아 對荅시고 아래 호아 對荅시니라 生死

선종영가집언해 상권:46ㄱ

긋디 주004)
긋디:
그치지. 긏-[息]+디(보조적연결어미). 팔종성표기법.
아니호 四邪 行호 브터 주005)
브터:
말미암아.
서르 소겨 닐어 是非 긋디 아니라 寶積 주006)
보적(寶積):
≪대보적경(大寶積經)≫을 말함. 대승경전 49부를 모은 보고로서 보적은 법보의 집적이라는 뜻. 대승의 묘한 법이므로 ‘보’라 하고 무량의 법문이 이 가운데 들어 있으므로 ‘적’이라 함. 당나라 보리류지(菩提流志)가 번역함. 전 120권.
에 묻오 엇뎨 소교 주007)
소교:
속임[誑]을. 속-+이(사동접미사)+오+ㅁ+.
여희유미고 對荅샤 仔細히  後에 니르라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여기에 모아서 대답하시고 아래에 나누어 대답하시니라. 죽고 사는 일이 그치지 아니함은 4사를 행함으로 말미암아 서로 속여 말하여 시비가 그치지 아니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보적경≫에 묻자오되, “어찌(어떻게) 속임을 여읨입니까(여의겠습니까)?” 대답하시되, “자세히 생각한 후에 말하라.” 하시었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길우고:자라게 하고. 길-[長]+우(사동접미사)+고.
주002)
드위텨:뒤집어. 드위-[覆]+티(강세접미사)+어.
주003)
외다:그르다. 외-[非]+다.
주004)
긋디:그치지. 긏-[息]+디(보조적연결어미). 팔종성표기법.
주005)
브터:말미암아.
주006)
보적(寶積):≪대보적경(大寶積經)≫을 말함. 대승경전 49부를 모은 보고로서 보적은 법보의 집적이라는 뜻. 대승의 묘한 법이므로 ‘보’라 하고 무량의 법문이 이 가운데 들어 있으므로 ‘적’이라 함. 당나라 보리류지(菩提流志)가 번역함. 전 120권.
주007)
소교:속임[誑]을. 속-+이(사동접미사)+오+ㅁ+.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