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16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16


次須入門이니 修道漸次ㅣ 不出定慧와 五種起心과 六種料簡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버거 모로매 門 드로리니 修道 漸次 주001)
점차(漸次):
차례.
定慧 주002)
정혜(定慧):
‘정’은 마음을 한 곳에 머물게 하는 선정, ‘혜’는 현상과 본질을 관조하는 지혜.
와 다 가짓  니롬 주003)
니롬:
일어남. 닐-[起]+오+ㅁ.
과 여슷 가짓 요매 주004)
요매:
간추림에서. 해석함에서. -[分別]+요/오+ㅁ+애. ‘오’→‘요’는 ㅣ모음순행동화. ‘-애’는 ‘-에서’의 뜻으로도 쓰임. ‘-’는 일반적으로 ‘분별’을 뜻하는데, 여기서는 ‘요간(料簡)’의 번역어로 쓰임. ‘요간(料簡)’은 ‘분별하여 고름’을 뜻함.
나디 주005)
나디:
벗어나지. 나-[出]+디.
아니니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다음으로 모름지기 문에 들어갈 것이니 도를 닦는 차례가 선정(禪定)과 지혜(智慧)와 다섯 가지 마음 일어남과 여섯 가지의 간추림에서 벗어나지 않으니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持前淨戒야 得修定慧故로 成實에 云샤 戒 如捉賊고 定은 如縛賊고 慧 如殺賊니

선종영가집언해 상권:7ㄴ

三行次第 賢聖이 行之라 시니라 餘 如下釋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알 淨戒 주006)
정계(淨戒):
깨끗한 계율.
디녀 주007)
디녀:
지녀야. 디니-[持]+어+(강세 보조사). ‘-’가 어말어미 뒤에 쓰임.
定慧 닷릴 成實 주008)
성실(誠實):
≪성실론(誠實論)≫. 경전 이름.
에 니샤 戒 盜賊 자봄 고 定은 盜賊 욤 주009)
욤:
〈얽어〉맴. -[縛]+오+ㅁ.
고 慧 盜賊 주귬 주010)
주귬:
죽임. 죽-[死]+이(사동접미사)+유/우+ㅁ.
니 세 行 次第 주011)
차제(次第):
차례. 순서.
 賢聖이 行시니라 시니라 나닌 주012)
나닌:
나머지는. 남-[餘]++이(의존명사)+ㄴ.
아래 사굠 주013)
사굠:
새김과. 사기-[釋]+요/오+ㅁ.
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앞에서 말한 깨끗한 계율을 지녀야 선정과 지혜를 닦을 수 있을 것이므로 ≪성실론≫에 이르시되, “계율은 도적을 잡는 것과 같고, 선정은 도적을 얽어맴과 같고, 지혜는 도적을 죽임과 같으니, 세 행위의 차례는 현명한 성인이 행하신다.” 하셨다. 나머지는 아래에 새김과 같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점차(漸次):차례.
주002)
정혜(定慧):‘정’은 마음을 한 곳에 머물게 하는 선정, ‘혜’는 현상과 본질을 관조하는 지혜.
주003)
니롬:일어남. 닐-[起]+오+ㅁ.
주004)
요매:간추림에서. 해석함에서. -[分別]+요/오+ㅁ+애. ‘오’→‘요’는 ㅣ모음순행동화. ‘-애’는 ‘-에서’의 뜻으로도 쓰임. ‘-’는 일반적으로 ‘분별’을 뜻하는데, 여기서는 ‘요간(料簡)’의 번역어로 쓰임. ‘요간(料簡)’은 ‘분별하여 고름’을 뜻함.
주005)
나디:벗어나지. 나-[出]+디.
주006)
정계(淨戒):깨끗한 계율.
주007)
디녀:지녀야. 디니-[持]+어+(강세 보조사). ‘-’가 어말어미 뒤에 쓰임.
주008)
성실(誠實):≪성실론(誠實論)≫. 경전 이름.
주009)
욤:〈얽어〉맴. -[縛]+오+ㅁ.
주010)
주귬:죽임. 죽-[死]+이(사동접미사)+유/우+ㅁ.
주011)
차제(次第):차례. 순서.
주012)
나닌:나머지는. 남-[餘]++이(의존명사)+ㄴ.
주013)
사굠:새김과. 사기-[釋]+요/오+ㅁ.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