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22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22


선종영가집언해 상권:9ㄱ

優畢叉頌第六이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優畢叉頌 第六이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우필차송 제육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優畢叉 此云捨ㅣ며 亦云平等이니 捨 謂捨於二邊이니 邊이 非中道ㅣ라 等은 謂等於定慧니 中이 卽二邊이니 良由遮照同時ㅣ 本之道也ㅣ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優畢叉 주001)
우필차(優畢叉):
불고불락(不苦不樂). ‘평등, 사(捨), 부쟁(不諍)’이라 번역. 천태종에서는 공(空)과 유(有)에 치우치지 않은 중도관(中道觀)을 이름.
 예셔 닐오매 료미며 주002)
료미며:
버림이며. 리-[捨]+요/오+ㅁ+이+며.
 닐오매 平等이니 료 두 주003)
:
끝. 가[邊]. ‘’→‘’은 팔종성 표기.
료 니니  주004)
:
끝이. [邊]+이.
中道 주005)
중도(中道):
두 변(극단)에 치우치지 않는 올바른 도.
ㅣ 아니라 等은 定慧 等호 주006)
정혜(定慧) 등(等)호:
정혜가 평등함을. ‘정혜’ 뒤에 주격조사가 ∅형태로 존재함.
니니 中이 곧 二邊 주007)
이변(二邊):
중도에 이르지 못한 양 극단.
이니 實로 리며 비취욤 로미 주008)
로미:
동시(同時)임이. 함께인 것이. +[時]+이-(서술격조사)+로/오+ㅁ+이. 선어말어미 ‘-오/우-’는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로-’로 교체됨.
本來ㅅ 道ㅣ론 주009)
도(道)ㅣ론:
도인. 도+ㅣ+로/오+ㄴ. 앞의 ‘로미’ 주석 참조.
젼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우필차는 여기에서 일컬음에 버림이며 또 일컬음에 평등이니, 버림은 두 끝을 버림을 이르니, 끝은 중도가 아니다. ‘평등’은 정혜가 평등함을 이르니, 중도는 곧 두 끝(이변)이니, 실로 가리며 비침이 동시임이 본래의 도인 까닭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우필차(優畢叉):불고불락(不苦不樂). ‘평등, 사(捨), 부쟁(不諍)’이라 번역. 천태종에서는 공(空)과 유(有)에 치우치지 않은 중도관(中道觀)을 이름.
주002)
료미며:버림이며. 리-[捨]+요/오+ㅁ+이+며.
주003)
:끝. 가[邊]. ‘’→‘’은 팔종성 표기.
주004)
:끝이. [邊]+이.
주005)
중도(中道):두 변(극단)에 치우치지 않는 올바른 도.
주006)
정혜(定慧) 등(等)호:정혜가 평등함을. ‘정혜’ 뒤에 주격조사가 ∅형태로 존재함.
주007)
이변(二邊):중도에 이르지 못한 양 극단.
주008)
로미:동시(同時)임이. 함께인 것이. +[時]+이-(서술격조사)+로/오+ㅁ+이. 선어말어미 ‘-오/우-’는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로-’로 교체됨.
주009)
도(道)ㅣ론:도인. 도+ㅣ+로/오+ㄴ. 앞의 ‘로미’ 주석 참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