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2 계교사의(戒憍奢意)
  • 제2 계교사의 006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2 계교사의 006


夫欲出超三界호 未有絶塵之行면 徒爲男子之身이오 而無丈夫之志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三界 주001)
삼계(三界):
생사유전이 쉴 새 없는 미계(迷界)를 셋으로 분류한 것. 욕계·색계·무색계.
예 나 건나고져 주002)
건나고져:
뛰어 건너고자[欲超]. 걷-[超]+나-→건나-〉건너-. 비음화(자음접변) 형태가 기본형으로 굳어짐.
호 듣글 주003)
듣글:
티끌. 먼지.
그츤 行이 업스면 갓 男子 모미 외오 丈夫 디 업스니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삼계에서 벗어나 건너고자 하되, 티끌을 끊은 수행이 없으면 한갓 남자 몸이 되고 장부의 뜻이 없으니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但懷出世之心야 隨塵無染면 卽號丈夫ㅣ라 不論男女ㅣ니라 涅槃애 云샤 若具四法면 則名丈夫ㅣ니 何等爲四오 一은 善知識이오 二 能聽法이오 三은 思惟義오 四 如說修行이니 無此四

선종영가집언해 상권:25ㄱ

法면 不名丈夫ㅣ니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오직 出世 주004)
출세(出世):
출세간(出世間). 삼계의 번뇌를 떠나 깨달음의 경지에 드는 것. 또는 그 경지.
ㅅ  머거 塵을 조차 더러움 업스면 곧 일후미 丈夫ㅣ라 男女를 論홀띠 주005)
논(論)홀띠:
논할 것이. 논+-+오+ㄹㆆ++ㅣ.
아니니라 涅槃 주006)
열반(涅槃):
≪열반경(涅槃經)≫. ≪대승열반경(大乘涅槃經)≫. 부처님이 입적하시기 직전에 마지막 설법의 형식을 통하여 첫째 불신(佛身)의 상주, 둘째 열반의 상락아정(常樂我淨), 셋째 일체중생의 실유불성(悉有佛性) 등 세 가지 사상을 밝힘.
애 니샤 다가 四法 주007)
사법(四法):
네 가지의 성스러운 가르침. 성계(聖戒)·성정(聖定)·성혜(聖慧)·성해탈(聖解脫)을 말함.
면 주008)
면:
갖추어지면. -[具]+()면.
일후미 丈夫ㅣ니 어느히 주009)
어느히:
어느 것들이. 어느+ㅎ(복수화접미사)+이. 여기서 ‘어느’는 대명사로 ‘어느 것’.
네코 주010)
네코:
넷인가? 네ㅎ[四]+고.
나 善知識 주011)
선지식(善知識):
부처님이 말씀하신 교법을 잘 이해하고 또 남녀노소 귀천을 가리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교법을 말해서 그들로 하여금 고통세계를 벗어나 부처와 인연을 맺게 해 주는 일, 혹은 그런 일을 하는 사람.
이오 둘흔 能히 法 드루미오 세흔 義 호미오 주012)
랑호미오:
생각함이고. 랑[思]+-+오+ㅁ+이+오/고. ‘고→오’는 ㅣ모음 아래 ㄱ탈락.
네흔 닐온 다히 修行호미니 이 네 法이 업스면 丈夫ㅣ라 일훔 아닌니라 주013)
아닌니라:
아니하느니라. 아니니라→아닣니라→아닌니라. 약모음 ‘ㆍ’ 탈락.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오직 세간을 벗어날 마음을 먹어 진(塵)을 좇아 더러움이 없으면 곧 이름이 장부이다, 남녀를 논할 것이 아니다. ≪열반경≫에 이르시되, “만약 사법이 갖추어지면 이름이 장부이니 어떤 것들이 네 〈가지〉인가? 하나는 선지식이고, 둘은 능히 법을 들음이고, 셋은 의를 생각함이고, 넷은 말한 바대로 수행함이니, 이 네 〈가지〉 법이 없으면 장부라고 부르지 아니한다.”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삼계(三界):생사유전이 쉴 새 없는 미계(迷界)를 셋으로 분류한 것. 욕계·색계·무색계.
주002)
건나고져:뛰어 건너고자[欲超]. 걷-[超]+나-→건나-〉건너-. 비음화(자음접변) 형태가 기본형으로 굳어짐.
주003)
듣글:티끌. 먼지.
주004)
출세(出世):출세간(出世間). 삼계의 번뇌를 떠나 깨달음의 경지에 드는 것. 또는 그 경지.
주005)
논(論)홀띠:논할 것이. 논+-+오+ㄹㆆ++ㅣ.
주006)
열반(涅槃):≪열반경(涅槃經)≫. ≪대승열반경(大乘涅槃經)≫. 부처님이 입적하시기 직전에 마지막 설법의 형식을 통하여 첫째 불신(佛身)의 상주, 둘째 열반의 상락아정(常樂我淨), 셋째 일체중생의 실유불성(悉有佛性) 등 세 가지 사상을 밝힘.
주007)
사법(四法):네 가지의 성스러운 가르침. 성계(聖戒)·성정(聖定)·성혜(聖慧)·성해탈(聖解脫)을 말함.
주008)
면:갖추어지면. -[具]+()면.
주009)
어느히:어느 것들이. 어느+ㅎ(복수화접미사)+이. 여기서 ‘어느’는 대명사로 ‘어느 것’.
주010)
네코:넷인가? 네ㅎ[四]+고.
주011)
선지식(善知識):부처님이 말씀하신 교법을 잘 이해하고 또 남녀노소 귀천을 가리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교법을 말해서 그들로 하여금 고통세계를 벗어나 부처와 인연을 맺게 해 주는 일, 혹은 그런 일을 하는 사람.
주012)
랑호미오:생각함이고. 랑[思]+-+오+ㅁ+이+오/고. ‘고→오’는 ㅣ모음 아래 ㄱ탈락.
주013)
아닌니라:아니하느니라. 아니니라→아닣니라→아닌니라. 약모음 ‘ㆍ’ 탈락.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