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12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12


今에 子細檢責야 令麤過로 不生케 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제 仔細히 펴 責야 麤 주001)
추(麤):
거친.
허믈로 나디 아니케 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제 자세히 살펴 책(責)하여 큰 허물로 하여금 생겨나지 아니하게 하므로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先示業因샤 今知來報시니 般若애 云샤 汝

선종영가집언해 상권:6ㄱ

等이 當持淨戒니 不應犯戒之心을 經一念頃이온 況經多時녀 莫縱自心라 後生憂悔리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몬져 業因 주002)
업인(業因):
업의 원인.
뵈샤 주003)
뵈샤:
보이시어. 보-+이(사동접미사)+시+아.
오 주004)
보(報):
과보(果報).
알에 주005)
알에:
알게. 알-[知]+에/게. ‘ㄹ’ 뒤에서 ‘ㄱ’ 약화.
시니 般若 주006)
반야(般若):
반야경.
애 니샤 너희히 반기 淨戒 디뇰띠니 주007)
디뇰띠니:
지닐 것이니. 디니-[持]+오+ㄹㆆ++ㅣ+니.
戒ㅣ 주008)
계(戒)ㅣ:
계가. 계를. ‘戒를’로 옮기지 않은 것이 특이함. 〈상12ㄴ·상13ㄱ〉을 참조.
犯홀  一念도 주009)
일념(一念)도:
한 생각 사이라도. 잠깐 사이라도. 일념+ㅅ++도.
디내요미 몯리온 주010)
몯리온:
못할 것이거늘. ~할 수 없을 것이거늘. 몯+-+ㄹ+이+온/곤. ‘ㄱ’ 약화.
며 여러 時 디내요미녀 주011)
디내요미녀:
지냄이야 (가능할 리 있겠느냐)? ‘-곤+며+명사구+이녀’는 이 구문의 전형적인 통사 구조 중의 하나인데, 이처럼 서술부가 생략된 채 주어부에 붙은 ‘-이녀’는 의문을 나타냄. ‘-이녀’의 청자대우등급은 라체임.
내  주012)
내 :
자기 자신의 마음. ‘나’는 [자신]. 주격은 ‘·내’(거성), 관형격은 ‘내’(평성)로 실현됨.
노티 말라 後에 뉘으미 주013)
뉘으미:
후회스러움이. 뉘읓-[悔]+브(형용사화접미사)+우+ㅁ+이.
나리라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먼저 ‘업(業)’의 원인을 보이시어 돌아오는 과보를 알게 하시니, ≪반야경≫에 이르시되, “너희들이 반드시 깨끗한 계율을 지녀야 할 것이니, 계율을 범할 마음을 잠깐 사이라도 〈지니고〉 지내지 못할 것이거늘 하물며 여러 시간을 지냄이야 〈있을 수 있겠느냐〉? 자신의 마음을 놓지 말라. 나중에 후회스러움이 생겨나리라.”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추(麤):거친.
주002)
업인(業因):업의 원인.
주003)
뵈샤:보이시어. 보-+이(사동접미사)+시+아.
주004)
보(報):과보(果報).
주005)
알에:알게. 알-[知]+에/게. ‘ㄹ’ 뒤에서 ‘ㄱ’ 약화.
주006)
반야(般若):반야경.
주007)
디뇰띠니:지닐 것이니. 디니-[持]+오+ㄹㆆ++ㅣ+니.
주008)
계(戒)ㅣ:계가. 계를. ‘戒를’로 옮기지 않은 것이 특이함. 〈상12ㄴ·상13ㄱ〉을 참조.
주009)
일념(一念)도:한 생각 사이라도. 잠깐 사이라도. 일념+ㅅ++도.
주010)
몯리온:못할 것이거늘. ~할 수 없을 것이거늘. 몯+-+ㄹ+이+온/곤. ‘ㄱ’ 약화.
주011)
디내요미녀:지냄이야 (가능할 리 있겠느냐)? ‘-곤+며+명사구+이녀’는 이 구문의 전형적인 통사 구조 중의 하나인데, 이처럼 서술부가 생략된 채 주어부에 붙은 ‘-이녀’는 의문을 나타냄. ‘-이녀’의 청자대우등급은 라체임.
주012)
내 :자기 자신의 마음. ‘나’는 [자신]. 주격은 ‘·내’(거성), 관형격은 ‘내’(평성)로 실현됨.
주013)
뉘으미:후회스러움이. 뉘읓-[悔]+브(형용사화접미사)+우+ㅁ+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