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서문
  • 선종영가집 서(禪宗永嘉集序)
  • 선종영가집 서 022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종영가집 서 022


愍傷含識샤 物物을 斯安시며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含識 주001)
함식(含識):
중생.
어엿비 주002)
어엿비:
가엾게. 어엿브-[愍]+이(부사화접미사). ‘-브-’가 형용사화접미사로 쓰이는 사실을 고려하여 ‘어엿-’을 어근으로 처리할 수 있음.
너기샤 物物 주003)
물물(物物):
중생.
을 便安케 시며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중생을 불쌍히 여기시어 모든 중생을 편안하게 하시며,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修上諸善은 爲欲衆生이 離一切苦고 得究竟樂이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우흿 주004)
우흿:
위의. 위에서 말한.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가 붙는 체언은 제한되어 있음. ‘지븨, 밧긔, 녀긔, 미틔···’ 등.
諸善 주005)
제선(諸善):
모든 선행.
닷고 주006)
닷고:
닦음은. -[修]+오+ㅁ+.
衆生이 一切苦를 여희오 究竟樂 주007)
구경락(究竟樂):
최상의 즐거움.
得과뎨시니라 주008)
득(得)과뎨시니라:
얻게 하고자 하신 것이다. 득-[得]+과뎌+ㅣ(서술격조사)+시+니+라. ‘’ 탈락. ‘-과뎌’는 행위의 주체와 원망(願望)의 주체가 각기 다를 때에 쓰이는 소망의 종결어미.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위의 모든 선 닦음은 중생이 일체의 고(苦)를 여의고 최상의 즐거움을 얻게 하고자 하신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함식(含識):중생.
주002)
어엿비:가엾게. 어엿브-[愍]+이(부사화접미사). ‘-브-’가 형용사화접미사로 쓰이는 사실을 고려하여 ‘어엿-’을 어근으로 처리할 수 있음.
주003)
물물(物物):중생.
주004)
우흿:위의. 위에서 말한.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가 붙는 체언은 제한되어 있음. ‘지븨, 밧긔, 녀긔, 미틔···’ 등.
주005)
제선(諸善):모든 선행.
주006)
닷고:닦음은. -[修]+오+ㅁ+.
주007)
구경락(究竟樂):최상의 즐거움.
주008)
득(得)과뎨시니라:얻게 하고자 하신 것이다. 득-[得]+과뎌+ㅣ(서술격조사)+시+니+라. ‘’ 탈락. ‘-과뎌’는 행위의 주체와 원망(願望)의 주체가 각기 다를 때에 쓰이는 소망의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