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3 정수삼업(淨修三業)
  • 제3 정수삼업 010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3 정수삼업 010


貧窮乞丐 隨己所有야 敬心施與야 令彼安隱고 不求恩報며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艱難야 비닐 주001)
비닐:
비는 사람을. 빌-[求乞]++ㄴ+이[者]+ㄹ.
뒷논 주002)
뒷논:
가진. 소유한.
거슬 조차 敬心 주003)
경심(敬心):
공경하는 마음.
으로 주어 뎔

선종영가집언해 상권:31ㄴ

로 便安케 고 恩 가포 주004)
가포:
갚-[報]+오+ㅁ+.
求티 말며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가난하여 구걸하는 사람을 내가 〈갖추어〉 둔 것을 따라 공경하는 마음으로 주어서 저로 〈하여금〉 편안하게 하고 은혜 갚기를 구하지 말며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己之所有 求者 皆從야 敬而行之고 不務施報ㅣ니 四法經에 云샤 雖自窮乏나 所有 皆施야 有來求乞커든 頭目身體 心無違逆이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내 뒷논 거슬 求릴 다 조차 恭敬야 行고 줌 가포 힘디 마로리니 四法經 주005)
사법경(四法經):
중국 당나라의 지바하라(地婆訶羅)가 번역한 ≪불설대승사법경≫과 ≪불설보살수행사법경≫이 있음. 보살이 수행하는 네 가지 법 즉 ①보리심을 버리지 않는 것, ②선지식을 버리지 않는 것, ③인내와 사랑을 버리지 않는 것, ④조용한 곳을 찾아 수행하고자 하는 마음을 버리지 않는 것 등을 설한 경.
에 니샤 비록 내 艱難야 업스나 뒷논 거슬 다 주어 와 빌리 주006)
빌리:
빌 사람이. 비는 이가. 빌-[乞]+ㄹ(관형형어미 탈락)+이[者]+∅/이(영형태주격조사). ‘ㄹ’ 첨가.
잇거든 頭目身體 매 거스룸 업수리라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내가 〈갖추어〉 둔 것을 구걸하는 사람을 다 좇아서 공경하여 행하고, 준 것에 대하여 갚기(보상받기)를 힘쓰지 말 것이니, ≪사법경≫에 이르시되, “비록 내가 가난하여 없으나 〈갖추어〉 둔 것을 다 주어서, 와서 구걸하는 사람이 있거든 머리와 눈과 신체를(신체까지라도) 마음에 거스름이 없어야 하리라.”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비닐:비는 사람을. 빌-[求乞]++ㄴ+이[者]+ㄹ.
주002)
뒷논:가진. 소유한.
주003)
경심(敬心):공경하는 마음.
주004)
가포:갚-[報]+오+ㅁ+.
주005)
사법경(四法經):중국 당나라의 지바하라(地婆訶羅)가 번역한 ≪불설대승사법경≫과 ≪불설보살수행사법경≫이 있음. 보살이 수행하는 네 가지 법 즉 ①보리심을 버리지 않는 것, ②선지식을 버리지 않는 것, ③인내와 사랑을 버리지 않는 것, ④조용한 곳을 찾아 수행하고자 하는 마음을 버리지 않는 것 등을 설한 경.
주006)
빌리:빌 사람이. 비는 이가. 빌-[乞]+ㄹ(관형형어미 탈락)+이[者]+∅/이(영형태주격조사). ‘ㄹ’ 첨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