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14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14


奢摩他頌第四ㅣ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奢摩他頌 第四ㅣ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사마타 게송 제사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

선종영가집언해 상권:6ㄴ

奢摩他 此云止며 又云定이라 何不敵翻고 有五義故로 不翻니 一은 生善이오 二 多含이오 三은 秘密이오 四 順古ㅣ오 五 無對니 此 順多含 是故로 不翻니 下皆倣此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奢摩他 주001)
사마타(奢摩他):
망념을 쉬고 마음을 한 곳에 머무르게 하는 것.
예셔 주002)
예셔:
여기에서. 당나라에서.
닐오매 주003)
지(止):
그침.
며  닐오매 주004)
정(定):
마음을 한 곳에 머물게 하는 것.
이라 엇뎨 마초 주005)
마초:
맞추어. 마초+∅/아(영형태부사와접미사). 어간형 파생부사.
翻譯 아니뇨 주006)
아니뇨:
아니하는가? 아니+-+니+고. ‘ㄱ’이 탈락하여 음절축약. ‘-니오’와 ‘-뇨’는 공존하나, ‘-뇨’가 우세함.
다 義 이실 翻譯 아니니 나 주007)
나:
하나는. 나ㅎ(ㅎ종성체언)+(보조사).
善 나미오 둘흔 주008)
둘흔:
둘은. 둘ㅎ(ㅎ종성체언)+은(보조사).
머군  하미오 세흔 주009)
세흔:
셋은. 세ㅎ(ㅎ종성체언)+은(보조사).
秘密호미오 네흔 주010)
네흔:
넷은. 네ㅎ(ㅎ종성체언)+은(보조사).
녜 順호미오 다 주011)
대(對):
대칭이 되는 것.
업수미니 이 주012)
이:
여기서는.
多含 주013)
다함(多含):
머금은 뜻이 많음.
順 주014)
순(順):
따르므로. 순+[順]+ㄹㆆ++ㅣ.
이런로 翻譯 아니니 아래 다 이 브트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사마타(奢摩他)는 여기에서 일컬음에 지(止)며 또 일컬음에 정(定)이다. 어찌하여 맞추어 번역하지 않는가? 다섯 뜻이 있으므로 번역 아니 하니, 하나는 선이 생겨남이고, 둘은 머금은 뜻이 많음이고, 셋은 비밀함이고, 넷은 옛것을 따름이고, 다섯은 〈마땅히 번역할 만한〉 대칭어가 없음이니, 이는(여기서는) 머금은 뜻이 많음을 따랐으니, 이런 까닭으로 번역 아니 하니, 아래도 다 이에 말미암은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마타(奢摩他):망념을 쉬고 마음을 한 곳에 머무르게 하는 것.
주002)
예셔:여기에서. 당나라에서.
주003)
지(止):그침.
주004)
정(定):마음을 한 곳에 머물게 하는 것.
주005)
마초:맞추어. 마초+∅/아(영형태부사와접미사). 어간형 파생부사.
주006)
아니뇨:아니하는가? 아니+-+니+고. ‘ㄱ’이 탈락하여 음절축약. ‘-니오’와 ‘-뇨’는 공존하나, ‘-뇨’가 우세함.
주007)
나:하나는. 나ㅎ(ㅎ종성체언)+(보조사).
주008)
둘흔:둘은. 둘ㅎ(ㅎ종성체언)+은(보조사).
주009)
세흔:셋은. 세ㅎ(ㅎ종성체언)+은(보조사).
주010)
네흔:넷은. 네ㅎ(ㅎ종성체언)+은(보조사).
주011)
대(對):대칭이 되는 것.
주012)
이:여기서는.
주013)
다함(多含):머금은 뜻이 많음.
주014)
순(順):따르므로. 순+[順]+ㄹㆆ++ㅣ.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