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3 정수삼업(淨修三業)
  • 제3 정수삼업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3 정수삼업 001


선종영가집언해 상권:27ㄱ

貪과 嗔과 邪見은 意業이오 妄言과 綺語와 兩舌와 惡口와 口業이오 殺와 盜와 婬과 身業이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貪과 嗔과 邪見은 意業 주001)
의업(意業):
삼업(業)의 하나. 마음으로 짓는 모든 업.
이오 妄言과 빗난 주002)
빗난:
빛나는. ‘빛→빗’은 팔종성표기.
말와 두 가짓 혀와 모딘 주003)
모딘:
모진. 악한. 모딜-[惡]+ㄴ. 모딜-〉모질-. 구개음화.
입과 口業 주004)
구업(口業):
삼업의 하나. 어업(語業)이라고도 함. 입으로 짓는 업. 곧 언어를 말함.
이오 殺와 盜와 婬과 身業 주005)
신업(身業):
삼업의 하나. 몸으로 짓는 온갖 업.
이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탐욕과 성냄과 사악한 생각은 의업이고 거짓말과 빛나는
(꾸미는)
말과 두 가지 혀와 악한 입은 구업이고 살생과 도둑질과 음행은 신업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㧾列十惡샤 爲觀行境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十惡 주006)
십악(十惡):
열 가지 악업. 살생(殺生)·투도(偸盜)·사음(邪婬)·망어(妄語)·기어(綺語)·악구(惡口)·양설(兩舌)·탐욕(貪慾)·진에(瞋恚)·사견(邪見)을 말함.
모도와 주007)
모도와:
모아. 모도-[㧾]+아. ‘아→와’는 ‘오’에 동화됨.
버리샤 주008)
버리샤:
벌이시어. 전개하시어. 펼치시어. 벌-[列]+이(사동접미사)+시+아.
觀行境 주009)
관행경(觀行境):
관행은 마음으로 진리를 관하며 몸소 실행함. 혹은 자기 마음의 본 성품을 밝게 관조하는 방법. 곧 관심의 행법을 말하므로 관행경은 관심수행의 대상을 말함.
을 사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열 가지 악을 모아 벌리시어 관행의 경계를 삼으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의업(意業):삼업(業)의 하나. 마음으로 짓는 모든 업.
주002)
빗난:빛나는. ‘빛→빗’은 팔종성표기.
주003)
모딘:모진. 악한. 모딜-[惡]+ㄴ. 모딜-〉모질-. 구개음화.
주004)
구업(口業):삼업의 하나. 어업(語業)이라고도 함. 입으로 짓는 업. 곧 언어를 말함.
주005)
신업(身業):삼업의 하나. 몸으로 짓는 온갖 업.
주006)
십악(十惡):열 가지 악업. 살생(殺生)·투도(偸盜)·사음(邪婬)·망어(妄語)·기어(綺語)·악구(惡口)·양설(兩舌)·탐욕(貪慾)·진에(瞋恚)·사견(邪見)을 말함.
주007)
모도와:모아. 모도-[㧾]+아. ‘아→와’는 ‘오’에 동화됨.
주008)
버리샤:벌이시어. 전개하시어. 펼치시어. 벌-[列]+이(사동접미사)+시+아.
주009)
관행경(觀行境):관행은 마음으로 진리를 관하며 몸소 실행함. 혹은 자기 마음의 본 성품을 밝게 관조하는 방법. 곧 관심의 행법을 말하므로 관행경은 관심수행의 대상을 말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