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서문
  • 선종영가집 서(禪宗永嘉集序)
  • 선종영가집 서 042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종영가집 서 042


今에 略紀斯文이 多有謬誤니 用俟明哲노니 非者란 正之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제 이 그 져기 주001)
져기:
약간. 젹-[少]+이(부사화접미사).
紀호미 주002)
왼:
그른. 외-[非]+ㄴ.
 하니 明哲 주003)
명철(明哲):
현명한 사람.
기들우노니 주004)
기들우노니:
기다리노니. 기들우-++오+니. ‘기들우-, 기들오-, 기들이-, 기드리-, 기리-, 기오-, 기우-’가 다 쓰임. 여기서 ‘-오/우-’나 ‘-이-’가 분석될 가능성이 보이지만, ‘기들/기-’이 ‘-오/우-’나 ‘-이-’와 떨어져 쓰이는 경우가 없음.
왼 란 正오라 주005)
졍(正)오라:
바로잡으라. 졍+-+ㅣ(사동접미사)+오(사동접미사)+라. 이중사동형.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제 이 글을 약간 기록함이(에) 그른 데가 많으니, 현명한 사람을 기다리노니 그릇된 곳일랑은 바르게 하라.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

선종영가집언해 서:17ㄱ

著述謙光은 慮編의 有逸이니라 紀 記오 俟 待也ㅣ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著述에 謙辭 주006)
겸사(謙辭):
겸손하게 말함.
호【著述은 글지 주007)
지:
지을. -[作]+을.
씨라】
編의 일흔 주008)
일흔:
잃은. 빠뜨린. 잃-[失]+오+ㄴ. ‘오/우’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이쇼 주009)
이쇼:
있음을. 이시-[有]+오+ㅁ+. ‘이시-’는 모음 앞에, ‘잇-’은 자음 앞에 쓰임.
분별니라 주010)
분별니라:
염려함이니라. 분별+-+ㄴ+이(의존명사)+∅/이-(영형태서술격조사)+라.
紀 記錄씨오 俟 기드릴 주011)
기드릴:
기다리는. 기드리-[待]+ㄹ.
씨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저술에 겸사함은【저술은 글 짓는 것이다.】 편의(에) 잃은 곳이 있음을 근심한 것이다. ‘기’는 기록하는 것이고, ‘사’는 기다리는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져기:약간. 젹-[少]+이(부사화접미사).
주002)
왼:그른. 외-[非]+ㄴ.
주003)
명철(明哲):현명한 사람.
주004)
기들우노니:기다리노니. 기들우-++오+니. ‘기들우-, 기들오-, 기들이-, 기드리-, 기리-, 기오-, 기우-’가 다 쓰임. 여기서 ‘-오/우-’나 ‘-이-’가 분석될 가능성이 보이지만, ‘기들/기-’이 ‘-오/우-’나 ‘-이-’와 떨어져 쓰이는 경우가 없음.
주005)
졍(正)오라:바로잡으라. 졍+-+ㅣ(사동접미사)+오(사동접미사)+라. 이중사동형.
주006)
겸사(謙辭):겸손하게 말함.
주007)
지:지을. -[作]+을.
주008)
일흔:잃은. 빠뜨린. 잃-[失]+오+ㄴ. ‘오/우’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주009)
이쇼:있음을. 이시-[有]+오+ㅁ+. ‘이시-’는 모음 앞에, ‘잇-’은 자음 앞에 쓰임.
주010)
분별니라:염려함이니라. 분별+-+ㄴ+이(의존명사)+∅/이-(영형태서술격조사)+라.
주011)
기드릴:기다리는. 기드리-[待]+ㄹ.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