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서문
  • 선종영가집 서(禪宗永嘉集序)
  • 선종영가집 서 031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종영가집 서 031


三吳碩學이 輻輳禪堦며 八表高人이 風趨理窟이러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三吳 주001)
삼오(三吳):
오군(吳君), 오흥(吳興), 단양(丹陽) 세 학자를 지칭.
굴근 주002)
굴근:
굵은. 큰. 굵-[碩]+은.
學이 禪堦 주003)
선계(禪堦):
선의 계단.
술윗살 주004)
술윗살:
수레바퀴살. 술위[車]+ㅅ+살[輻].
몯 주005)
몯:
모이듯. 몯-[輳]+. 수레바퀴살이 한 곳으로 모이는 것이 ‘복주(輻輳)’임.
며【三吳 吳郡과 吳

선종영가집언해 서:13ㄱ

興과 丹陽괘라】
八表 주006)
팔표(八表):
8방(八方). 동·서·남·북·북동·남동·북서·남서 방향.
앳 노 사미 理窟 주007)
이굴(理窟):
진리의 굴.
에  더라 주008)
더라:
달리듯 하더라. -[趨]++-(탈락)+더+라. 접미사 ‘--’는 무성자음으로 끝나는 어근 뒤에서 탈락함.
【八表 八方이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삼오의 큰 학자가 선의 계단에 〈모이되〉 수레바퀴살 모이듯 하며【삼오는 오군과 오흥과 단양이다.】 팔방의 높은 사람이 진리의 굴에 바람 달리듯 하더라(모이더라)【팔표는 팔방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如輻 輳轂은 言其多也ㅣ오 如風之趨 言其疾也ㅣ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술윗 주009)
술윗:
수레의. 술위+ㅅ(관형격조사).
사리 주010)
사리:
살대가. 살[輻]+이(주격조사).
통애 몯호 하 주011)
하:
많음을. 하-[多]+아+ㅁ+. ‘하-[多]’는 평성인데, ‘-아-’와 결합하여 상성으로 변함.
니고   호 로 주012)
로:
빠름을. -[急]+오+ㅁ+. 변칙활용.
니르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수레의 살이 통에 모이듯 함은 많음을 말한 것이고, 바람 달리듯 함은 빠름을 말한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삼오(三吳):오군(吳君), 오흥(吳興), 단양(丹陽) 세 학자를 지칭.
주002)
굴근:굵은. 큰. 굵-[碩]+은.
주003)
선계(禪堦):선의 계단.
주004)
술윗살:수레바퀴살. 술위[車]+ㅅ+살[輻].
주005)
몯:모이듯. 몯-[輳]+. 수레바퀴살이 한 곳으로 모이는 것이 ‘복주(輻輳)’임.
주006)
팔표(八表):8방(八方). 동·서·남·북·북동·남동·북서·남서 방향.
주007)
이굴(理窟):진리의 굴.
주008)
더라:달리듯 하더라. -[趨]++-(탈락)+더+라. 접미사 ‘--’는 무성자음으로 끝나는 어근 뒤에서 탈락함.
주009)
술윗:수레의. 술위+ㅅ(관형격조사).
주010)
사리:살대가. 살[輻]+이(주격조사).
주011)
하:많음을. 하-[多]+아+ㅁ+. ‘하-[多]’는 평성인데, ‘-아-’와 결합하여 상성으로 변함.
주012)
로:빠름을. -[急]+오+ㅁ+. 변칙활용.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