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1 모도지의(慕道志儀)
  • 제1 모도지의 021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 모도지의 021


然이나 道不浪階라 隨功涉位耳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그러나 道 간대로 주001)
간대로:
마음대로. 함부로.
리논디 주002)
리논디:
다리(사다리) 구실을 하는 것이. 리[階]+-++오+ㄴ++ㅣ.
아니라 功 조차 주003)
위(位):
지위 혹은 위치.
 건나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그러나 ‘도(道)’는 함부로 다리 〈구실을〉 하는 것이 아니라 공(功)을 따라서 지위를 건너는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學法之者ㅣ 理行을 須明이 說理홀뎬 則泯彼階差ㅣ오 談行홀뎬 則積功야 方達이니 位次ㅣ 無濫이라 道應不虛ㅣ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호리 주004)
호리:
배울 사람이, 배우는 이가. 호-[學]+ㄹ+이[者]+Ø/이(영형태주격조사).
理行 주005)
이행(理行):
이치와 수행.
모로매 주006)
모로매:
모름지기.
굘띠니 주007)
굘띠니:
밝힐 것이니. -[明]+이(사동접미사)+오+ㄹㆆ++ㅣ-(서술격조사)+니.
理 닐올뗸 주008)
닐올뗸:
이를진댄, 말할 것 같으면. 니-[說]+오+ㄹㆆ++ㅣ+에+ㄴ.
階差 주009)
계차(階次):
단계의 차이.
ㅣ 업고 行 닐올뗸 功 싸하 주010)
싸하:
쌓아야. 쌓-[積]+아+. 강세접미사 ‘-’가 어말어미 뒤에 쓰임.
리니 주011)
리니:
통달하리니. -[達]+()리+니.
位次 주012)
위차(位次):
자리의 차례. 단계의 차례.
ㅣ 너뭄 업순디

선종영가집언해 상권:22ㄴ

주013)
업순디라:
없는 것이다. 없-[無]+우+ㄴ+(의존명사)+ㅣ-+라.
道ㅣ 반기 주014)
반기:
반드시.
虛티 아니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법을 배우는 사람이 이치와 수행을 모름지기 밝힐 것이니, 이치를 말할 것 같으면 저 단계의 차이가 없고, 수행을 말할 것 같으면 공을 쌓아야 통달할 것이니, 단계의 차이가 넘침이 없는 것이라서 도가 반드시 허망하지 아니하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간대로:마음대로. 함부로.
주002)
리논디:다리(사다리) 구실을 하는 것이. 리[階]+-++오+ㄴ++ㅣ.
주003)
위(位):지위 혹은 위치.
주004)
호리:배울 사람이, 배우는 이가. 호-[學]+ㄹ+이[者]+Ø/이(영형태주격조사).
주005)
이행(理行):이치와 수행.
주006)
모로매:모름지기.
주007)
굘띠니:밝힐 것이니. -[明]+이(사동접미사)+오+ㄹㆆ++ㅣ-(서술격조사)+니.
주008)
닐올뗸:이를진댄, 말할 것 같으면. 니-[說]+오+ㄹㆆ++ㅣ+에+ㄴ.
주009)
계차(階次):단계의 차이.
주010)
싸하:쌓아야. 쌓-[積]+아+. 강세접미사 ‘-’가 어말어미 뒤에 쓰임.
주011)
리니:통달하리니. -[達]+()리+니.
주012)
위차(位次):자리의 차례. 단계의 차례.
주013)
업순디라:없는 것이다. 없-[無]+우+ㄴ+(의존명사)+ㅣ-+라.
주014)
반기:반드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