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4 사마타송(奢摩他頌)
  • 제4 사마타송 067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4 사마타송 067


欲知上三德인댄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果上三德을 알오져 주001)
알오져:
알고자. 알-[知]+고져. ㄹ 뒤에서 ㄱ 약화.
홀띤댄 주002)
홀띤댄:
할진댄. -+오+ㄹㆆ++ㅣ+ㄴ댄.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과상의 삼덕을 알고자 할진댄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㧾標시니라 有曰호 襌宗이 何論於果ㅣ리오 니 故로 智者ㅣ 歎云샤 嗚呼聾騃여 若爲論道ㅣ리오 시니 僞說이 滋漫야 難可紀矣로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모도아 주003)
모도아:
모아. 몯-[會]+오(사동접미사)+아.
標시니라 닐오 襌宗이 엇뎨 果 니리오 니 이런로 智者ㅣ 歎야 니

선종영가집언해 상권:86ㄴ

샤디 이 귀머근 주004)
귀머근:
귀먹은. 귀+먹-[聾]+은. ‘귀먹-’은 ‘귀+먹-’으로 이루어진 통사적 합성어.
어린 주005)
어린:
어리석은. 어리-[愚]+ㄴ.
거시여 주006)
거시여:
것이여. 것+이여(호격조사).
엇뎨 道 니료 주007)
니료:
말하리오? 말하겠는가? 니-[曰]+리+고(의문형어미). ‘-고→-오’는 ㄱ 약화.
시니 거즛마리 주008)
거즛마리:
거짓말이. 거즛+말+이. ‘거즛〉거짓’은 구개모음화(전설모음화).
부러 주009)
부러:
불어나. 붇-[滋]+어. ‘ㄷ’변칙활용.
만야 주010)
만야:
많아서. 많-[多]+야.
쑤미 어렵도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모아 표(標)하셨다. 이르되, “선종이 어찌 과(果)를 말할 수 있겠는가?” 하니, 이런 까닭으로 지자(智者)대사가 탄식하여 이르시되, “이 귀먹은 어리석은 것이여! 어찌 도를 말하겠는가?” 하시니, 거짓말이 불어나 많아서 쓰기 어렵도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알오져:알고자. 알-[知]+고져. ㄹ 뒤에서 ㄱ 약화.
주002)
홀띤댄:할진댄. -+오+ㄹㆆ++ㅣ+ㄴ댄.
주003)
모도아:모아. 몯-[會]+오(사동접미사)+아.
주004)
귀머근:귀먹은. 귀+먹-[聾]+은. ‘귀먹-’은 ‘귀+먹-’으로 이루어진 통사적 합성어.
주005)
어린:어리석은. 어리-[愚]+ㄴ.
주006)
거시여:것이여. 것+이여(호격조사).
주007)
니료:말하리오? 말하겠는가? 니-[曰]+리+고(의문형어미). ‘-고→-오’는 ㄱ 약화.
주008)
거즛마리:거짓말이. 거즛+말+이. ‘거즛〉거짓’은 구개모음화(전설모음화).
주009)
부러:불어나. 붇-[滋]+어. ‘ㄷ’변칙활용.
주010)
만야:많아서. 많-[多]+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