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서문
  • 선종영가집 서(禪宗永嘉集序)
  • 선종영가집 서 003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종영가집 서 003


선종영가집언해 서:2ㄴ

覺路애 遙登샤 跡晦名言之表시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覺路 주001)
각로(覺路):
깨달음의 길.
머리 주002)
머리:
멀리. 멀-[遠]+이(부사화접미사).
오샤 주003)
오샤:
오르시어. 오-[登]+시+아.
주004)
적(跡):
발자취. 흔적.
名言 주005)
명언(名言):
이름과 말.
밧긔 주006)
밧긔:
밖에. [外]+의(처소부사격조사). 처소부사격조사‘애/에’ 대신에 ‘의’를 요구하는 체언이 있음. ¶지븨, 녀긔, 우희 등.
업스시니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깨달음의 길에 멀리 오르시어 발자취가 이름과 말의 밖에 없으시니(=감추어지시니),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覺路 則解脫이 返流ㅣ라 位當遠涉이시며 因이 窮야 趣果ㅣ라 義說遙登이시니라 跡晦는 則聖行이 已立샤 不藉名言이시니 止觀애 云샤 自證法은 不可說이라 시니라 跡은 行이오 晦 泯也ㅣ라 然이나 玆四句 說有多途니 學者ㅣ 番而詳之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覺路 解脫 주007)
해탈(解脫):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난 경지. 윤회의 속박에서 벗어나 열반에 들어간 경지.
흘루메 주008)
흘루메:
흐름에. 흐르-[流]+우+ㅁ(명사형어미)+에. ‘-ㅁ’이 파생접미사일 때에는 그 앞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안 쓰임. 르변칙활용.
두르샨디라 주009)
두르샨디라:
돌이키신 것이다. 뒤집은 것이다. 두르-[返]+시+아+ㄴ++ㅣ+라.
주010)
위(位):
지위. 경지.
ㅣ 머리 건너매 當하시며 주011)
인(因):
만물이 생기는 원인.
다아 주012)
다아:
다하여. 다-[盡]+아. ‘다아’ → ‘다아’. 약모음 ‘ㆍ’ 탈락.

선종영가집언해 서:3ㄱ

주013)
과(果):
원인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모든 법.
가샨 주014)
가샨:
가신. 가-[去]+시+아+ㄴ(관형형어미).
디라 들 遙登 주015)
요동(遙登):
멀리 오름.
이라 올띠니라 주016)
올띠니라:
아뢸지니라. -[白]+오+ㄹㆆ++ㅣ+니+라. 디니라〉올띠니라.
업수 주017)
업수:
없음은. 없-[無]+우+ㅁ+. ‘’은 모음조화 불일치.
聖行 주018)
성행(聖行):
보살이 해탈과 교화를 위하여 닦는 5행 중 자기를 위해 닦는 계·정·혜를 말함.
마 주019)
마:
벌써. 이미.
셔샤 주020)
셔샤:
서시어. 셔-[立]+시+아.
名言에 븓디 주021)
븓디:
붙지. 빌리지[藉].
아니샤미시니 止觀 주022)
지관(止觀):
수도 방법으로 망념을 제거하여 마음을 한 곳에 집중하는 것과 관조하는 것.
애 니샤 주023)
제:
제가. 스스로가. 저+ㅣ(주격조사). ‘저’[自]는 평성인데, 주격조사와 결합하여 상성으로 변화. 관형격일 때에는 평성임.
주024)
증(證):
신심(信心)과 수행의 공덕이 나타나 진리에 계합함.
혼 法은 니르디 몯리라 시니라 跡은 行이오 주025)
행(行)이오:
행이고. ‘ㅣ’ 모음 아래에서 ‘ㄱ’ 약화.
晦 업슬씨라 그러나 이 네 句 닐오미 주026)
닐오미:
일컬음이. 니-[曰]+오+ㅁ+이. 변칙활용.
여러 길히 잇니 호리 주027)
호리:
배울 사람이. 호-[學]+ㄹ+이.
펴 仔細히 홀띠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각로는 해탈이 흐름에 돌이키신 것이다
(=해탈하여 흐름을 되돌린 것이다).
그 지위가 멀리 건넘에 해당하시며 인이 다하여 과에 가신 것이기에 뜻을 요등이라고 말할 것이다. 발자취가 없음(감추어짐)은 성행이 이미 서시어 이름과 말에 붙지
(=이름과 말을 빌리지)
아니하심이시니, 지관에 이르시되, “스스로 증득한 법은 말로 표현하지 못하리라.” 하셨다. ‘적(跡)’은 행이요 ‘회(晦)’는 〈감추어져〉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 네 구는 일컫는 바가 여러 길이 있으니, 배우는 이가 살펴 자세히 해야 할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각로(覺路):깨달음의 길.
주002)
머리:멀리. 멀-[遠]+이(부사화접미사).
주003)
오샤:오르시어. 오-[登]+시+아.
주004)
적(跡):발자취. 흔적.
주005)
명언(名言):이름과 말.
주006)
밧긔:밖에. [外]+의(처소부사격조사). 처소부사격조사‘애/에’ 대신에 ‘의’를 요구하는 체언이 있음. ¶지븨, 녀긔, 우희 등.
주007)
해탈(解脫):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난 경지. 윤회의 속박에서 벗어나 열반에 들어간 경지.
주008)
흘루메:흐름에. 흐르-[流]+우+ㅁ(명사형어미)+에. ‘-ㅁ’이 파생접미사일 때에는 그 앞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안 쓰임. 르변칙활용.
주009)
두르샨디라:돌이키신 것이다. 뒤집은 것이다. 두르-[返]+시+아+ㄴ++ㅣ+라.
주010)
위(位):지위. 경지.
주011)
인(因):만물이 생기는 원인.
주012)
다아:다하여. 다-[盡]+아. ‘다아’ → ‘다아’. 약모음 ‘ㆍ’ 탈락.
주013)
과(果):원인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모든 법.
주014)
가샨:가신. 가-[去]+시+아+ㄴ(관형형어미).
주015)
요동(遙登):멀리 오름.
주016)
올띠니라:아뢸지니라. -[白]+오+ㄹㆆ++ㅣ+니+라. 디니라〉올띠니라.
주017)
업수:없음은. 없-[無]+우+ㅁ+. ‘’은 모음조화 불일치.
주018)
성행(聖行):보살이 해탈과 교화를 위하여 닦는 5행 중 자기를 위해 닦는 계·정·혜를 말함.
주019)
마:벌써. 이미.
주020)
셔샤:서시어. 셔-[立]+시+아.
주021)
븓디:붙지. 빌리지[藉].
주022)
지관(止觀):수도 방법으로 망념을 제거하여 마음을 한 곳에 집중하는 것과 관조하는 것.
주023)
제:제가. 스스로가. 저+ㅣ(주격조사). ‘저’[自]는 평성인데, 주격조사와 결합하여 상성으로 변화. 관형격일 때에는 평성임.
주024)
증(證):신심(信心)과 수행의 공덕이 나타나 진리에 계합함.
주025)
행(行)이오:행이고. ‘ㅣ’ 모음 아래에서 ‘ㄱ’ 약화.
주026)
닐오미:일컬음이. 니-[曰]+오+ㅁ+이. 변칙활용.
주027)
호리:배울 사람이. 호-[學]+ㄹ+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