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서문
  • 선종영가집 서(禪宗永嘉集序)
  • 선종영가집 서 019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종영가집 서 019


戒月와 悲花왜 耿三空而列耀커시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戒月와 주001)
계월(戒月)와:
계행(戒行)의 달과. ‘과’→‘와’. ‘ㄱ’은 ‘ㄹ’이나 ‘ㅣ’ 또는 반모음 ‘-ㅣ’ 뒤에서 약화.
悲花 주002)
비화(悲花):
자비의 꽃.
三空 주003)
삼공(三空):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세 가지 방법. 공해탈문·무상해탈문·무작해탈문.
애 가 버러 주004)
버러:
벌려. 늘어서. 벌-[列]+어.
비취어시 주005)
비취어시:
비치시거늘. 비취-[耀]+어+시+. ‘거’→‘어’. ‘ㄹ, ㅣ, -ㅣ’ 아래서 ‘ㄱ’ 약화.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계월과 비화가 삼공에 밝아 벌려 비치시거늘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持戒 如月샤 淨而可觀이시고 行悲 若花샤 美而皆慕ㅣ샷다. 耿은 明也ㅣ라 七淨三空은 法數에 備矣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주006)
계(戒):
계율.
디뉴믄 주007)
디뉴믄:
지님은. 지킴은. 디니-[持]+우+ㅁ+은.
 샤 조하 주008)
조하:
깨끗하여. 좋-[淨]+아.
보암 주009)
보암:
봄. 보-[觀]+아+ㅁ.
직시고 주010)
비(悲):
자비.
行호 주011)
곳:
꽃. ‘곶[花]’→‘곳’은 8종성 표기법.
샤 됴하 주012)
됴하:
좋아. 둏-[美]+아. ‘둏-’〉‘죻-’〉‘좋-’. 근대국어에서 구개음화와 단모음화가 일어남.
놋다 주013)
놋다:
사모하옵도다. ‘사’은 [思, 愛, 慕]의 뜻으로 쓰이는데, 여기서는 [愛, 慕]로 쓰임. -[慕]+++옷(감탄선어말어미)+다.
耿 씨라 七淨三空 法數 주014)
법수(法數):
숫자로 표시한 법문.
니라 주015)
니라:
갖추어져 있느니라. -[備](형용사어간)+()니+라.
【七淨 나 戒淨 주016)
계정(戒淨):
정어(正語)·정업(正業)·정명(正命).
이오 둘흔 心淨 주017)
심정(心淨):
정정진(正精進)·정념(正念)·정정(正定).
이오 세흔 見淨 주018)
견정(見淨):
정견(正見)·정사유(正思惟).
이오 네흔 疑心 그츤

선종영가집언해 서:9ㄴ

주019)
의심(疑心) 그츤 정(淨):
단의정(斷疑淨). 견도(見道)에 들어가 의심을 끊는 것.
이오 다 分別淨 주020)
분별정(分別淨):
수도(修道)에 들어가 의혹을 끊는 것.
이오 여스슨 行淨 주021)
행정(行淨):
이미 의혹을 끊어서 혜행(慧行)이 청정함.
이오 닐구븐 涅槃淨 주022)
열반정(涅槃淨):
무학도(無學道). 번뇌를 끊어서 배울 것이 없고, 지견(知見)이 청정하여 열반의 과(果)를 얻는 것.
이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계를 지님은 달 같으시어 깨끗하여 봄 직하시고, 자비를 행함은 꽃 같으시어 좋아서 다 사모하도다. ‘경’은 밝은 것이다. 칠정 삼공은 법수에 갖추어져 있다.【칠정은 하나는 계정이고, 둘은 심정이고, 셋은 견정이고, 넷은 의심 그친 정이고, 다섯은 분별정이고, 여섯은 행정이고, 일곱은 열반정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계월(戒月)와:계행(戒行)의 달과. ‘과’→‘와’. ‘ㄱ’은 ‘ㄹ’이나 ‘ㅣ’ 또는 반모음 ‘-ㅣ’ 뒤에서 약화.
주002)
비화(悲花):자비의 꽃.
주003)
삼공(三空):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세 가지 방법. 공해탈문·무상해탈문·무작해탈문.
주004)
버러:벌려. 늘어서. 벌-[列]+어.
주005)
비취어시:비치시거늘. 비취-[耀]+어+시+. ‘거’→‘어’. ‘ㄹ, ㅣ, -ㅣ’ 아래서 ‘ㄱ’ 약화.
주006)
계(戒):계율.
주007)
디뉴믄:지님은. 지킴은. 디니-[持]+우+ㅁ+은.
주008)
조하:깨끗하여. 좋-[淨]+아.
주009)
보암:봄. 보-[觀]+아+ㅁ.
주010)
비(悲):자비.
주011)
곳:꽃. ‘곶[花]’→‘곳’은 8종성 표기법.
주012)
됴하:좋아. 둏-[美]+아. ‘둏-’〉‘죻-’〉‘좋-’. 근대국어에서 구개음화와 단모음화가 일어남.
주013)
놋다:사모하옵도다. ‘사’은 [思, 愛, 慕]의 뜻으로 쓰이는데, 여기서는 [愛, 慕]로 쓰임. -[慕]+++옷(감탄선어말어미)+다.
주014)
법수(法數):숫자로 표시한 법문.
주015)
니라:갖추어져 있느니라. -[備](형용사어간)+()니+라.
주016)
계정(戒淨):정어(正語)·정업(正業)·정명(正命).
주017)
심정(心淨):정정진(正精進)·정념(正念)·정정(正定).
주018)
견정(見淨):정견(正見)·정사유(正思惟).
주019)
의심(疑心) 그츤 정(淨):단의정(斷疑淨). 견도(見道)에 들어가 의심을 끊는 것.
주020)
분별정(分別淨):수도(修道)에 들어가 의혹을 끊는 것.
주021)
행정(行淨):이미 의혹을 끊어서 혜행(慧行)이 청정함.
주022)
열반정(涅槃淨):무학도(無學道). 번뇌를 끊어서 배울 것이 없고, 지견(知見)이 청정하여 열반의 과(果)를 얻는 것.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