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3 정수삼업(淨修三業)
  • 제3 정수삼업 004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3 정수삼업 004


云何淨修身業고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어늬 주001)
어늬:
어느 것이. 무엇이. 어느[何]+이(주격조사). ‘어느/어’는 중세국어에서 의문부사, 의문관형사, 의문대명사로 두루 쓰임.
身業을 조히 주002)
조히:
깨끗하게. 좋-[淨]+이(부사화접미사).
닷곰고 주003)
닷곰고:
닦음인가. -[修]+오+ㅁ+∅/이-(영형태서술격조사)+고(의문형종결어미).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어느 것이 신업을 깨끗이 닦음인가?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凡是云何와 何者와 何以故와 皆是假問之辭ㅣ니 下皆倣此니라 修身야 入道 故問云何시니 老子ㅣ 云호 修之於身야 其德이 乃眞이라 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믈읫 云何 주004)
운하(云何):
무엇이라 하는가? 무슨 말인가?
何者 주005)
하자(何者):
누구인가? 어느 것인가?
何以故 주006)
하이고(何以故):
무슨 까닭인가?
와 다 假設 주007)
가설(假說):
가정하여 하는 말.
야 묻논 마리니 아래 다 이 브트니라 주008)
브트니라:
의지하니라. 븥-[倣]+(으)니+라.
모 닷가 道애 들 무루 주009)
무루:
묻되. 질문하되. 묻-[問]+우+. ㄷ변칙활용.
云何오 시니 老子 주010)
노자(老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나라 철학자. 도가의 시조. 성은 이(李), 이름은 이(耳). ≪도덕경≫을 저술함.
ㅣ 닐오

선종영가집언해 상권:29ㄱ

 모매 닷가 그 德이 眞實리라 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무릇 ‘운하(云何)’와 ‘하자(何者)’와 ‘하이고(何以故)’는 다 가설하여 묻는 말이니, 아래에서도 다 이를 본떴다. 몸을 닦아 도에 들어가므로 묻되, “운하(云何)오” 하시니, 노자가 이르되, “몸에
(=을)
닦아야 그 덕이 진실하리라.” 하였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어늬:어느 것이. 무엇이. 어느[何]+이(주격조사). ‘어느/어’는 중세국어에서 의문부사, 의문관형사, 의문대명사로 두루 쓰임.
주002)
조히:깨끗하게. 좋-[淨]+이(부사화접미사).
주003)
닷곰고:닦음인가. -[修]+오+ㅁ+∅/이-(영형태서술격조사)+고(의문형종결어미).
주004)
운하(云何):무엇이라 하는가? 무슨 말인가?
주005)
하자(何者):누구인가? 어느 것인가?
주006)
하이고(何以故):무슨 까닭인가?
주007)
가설(假說):가정하여 하는 말.
주008)
브트니라:의지하니라. 븥-[倣]+(으)니+라.
주009)
무루:묻되. 질문하되. 묻-[問]+우+. ㄷ변칙활용.
주010)
노자(老子):중국 춘추전국시대 초나라 철학자. 도가의 시조. 성은 이(李), 이름은 이(耳). ≪도덕경≫을 저술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