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서문
  • 선종영가집 서(禪宗永嘉集序)
  • 선종영가집 서 015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종영가집 서 015


三業을 精勤샤 偏弘禪觀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三業 주001)
삼업(三業):
몸과 입과 뜻으로 짓는 세 가지 업. 〈서5ㄴ〉을 참조.
을 精히 브즈러니 주002)
브즈러니:
브즈런(명사)+이(부사화접미사). ¶브즈런 근(勤)〈유합 하9〉.
샤 禪觀 주003)
선관(禪觀):
참선할 때에 망상을 끊고 둘 아닌 경지에 들어가는 것.
츼여 주004)
츼여:
치우쳐. 츼이-[偏]+어. ‘-어〉-여’는 ㅣ모음순행동화.
너피샤 주005)
너피샤:
넓히시어. 넙-[弘]+히(사동접미사)+시+아. 중간본에는 ‘러피샤’로 변개되어 있음. 유창돈(1964)의 〈이조어사전〉과 한글학회(1991)의 〈우리말 큰사전〉은 모두 중간본을 이용함.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삼업을 정진하여 부지런히 하시되, 선관을(에) 치우쳐 넓히시어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身口意三을 精修不怠샤 多修禪觀시니 誠曰偏弘이로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身口意 주006)
신구의(身口意):
몸과 입과 뜻. 삼업(三業).
세흘 精히 닷가 주007)
닷가:
닦아. -[修]+아.
게으르디 아니샤 주008)
샤:
하시되. -+시+아+. ‘-(으)시-’ 뒤에서는 삽입모음 ‘-오/우-’ 대신 ‘-아-’가 쓰임.
禪觀 주009)
해:
많이. 하-[多]+이(부사화접미사).
닷시니 眞實로 츼여 너피시다 니리로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몸, 입, 뜻 셋을 정진하여 닦아 게으르지 아니하시되 선관을 〈더〉 많이 닦으시니, 진실로 치우쳐 넓히셨다 말할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삼업(三業):몸과 입과 뜻으로 짓는 세 가지 업. 〈서5ㄴ〉을 참조.
주002)
브즈러니:브즈런(명사)+이(부사화접미사). ¶브즈런 근(勤)〈유합 하9〉.
주003)
선관(禪觀):참선할 때에 망상을 끊고 둘 아닌 경지에 들어가는 것.
주004)
츼여:치우쳐. 츼이-[偏]+어. ‘-어〉-여’는 ㅣ모음순행동화.
주005)
너피샤:넓히시어. 넙-[弘]+히(사동접미사)+시+아. 중간본에는 ‘러피샤’로 변개되어 있음. 유창돈(1964)의 〈이조어사전〉과 한글학회(1991)의 〈우리말 큰사전〉은 모두 중간본을 이용함.
주006)
신구의(身口意):몸과 입과 뜻. 삼업(三業).
주007)
닷가:닦아. -[修]+아.
주008)
샤:하시되. -+시+아+. ‘-(으)시-’ 뒤에서는 삽입모음 ‘-오/우-’ 대신 ‘-아-’가 쓰임.
주009)
해:많이. 하-[多]+이(부사화접미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