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1 모도지의(慕道志儀)
  • 제1 모도지의 008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 모도지의 008


次隨解呈簡호리니 爲識邪正故ㅣ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버거 아로 조차 呈야 주001)
정(呈)야:
드러내어.
요리니 주002)
요리니:
간추릴 것이니. -[簡]+요/오+리+니. ‘오’→‘요’는 ㅣ모음순행동화.
邪正 주003)
사정(邪正):
옳지 못함과 옳음.
아로 주004)
아로:
앎을. 알기를. 알-[識]+오+.
爲 젼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다음으로 앎을 따라 드러내어 간추릴 것이니, 옳지 못함과 옳음을 알기 위한 까닭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或云호 古未有紙故로 以竹簡으로 寫呈이라 니 今謂不然니 但是憑師야 區以別矣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或이 닐오 주005)
녜:
옛날에는.
죠 주006)
죠:
종이[紙]가. 죠[紙]+∅/이(영형태주격조사).
업슬 대로 주007)
대로:
대쪽으로. 대[竹簡]+로.
주008)
써:
써서. 쓰-[書, 寫]+어. 쓰어→써. 약모음 ‘ㅡ’ 탈락.
呈타 니 이젠 닐오 그러티 아니니 오직 주009)
이:
이것이. 이것은. 이+∅/이(영형태주격조사).
스스 브터 주010)
브터:
의지하여. 븥-[憑]+어.

선종영가집언해 상권:18ㄱ

화 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혹자가 이르되, “옛날에는 종이가 없었으므로 대쪽에 써서 드러내었다.” 하니, 이젠 이르되, 그렇지 아니하니 오직 이것은 스승을 의지하여 나누어 구별하게 한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정(呈)야:드러내어.
주002)
요리니:간추릴 것이니. -[簡]+요/오+리+니. ‘오’→‘요’는 ㅣ모음순행동화.
주003)
사정(邪正):옳지 못함과 옳음.
주004)
아로:앎을. 알기를. 알-[識]+오+.
주005)
녜:옛날에는.
주006)
죠:종이[紙]가. 죠[紙]+∅/이(영형태주격조사).
주007)
대로:대쪽으로. 대[竹簡]+로.
주008)
써:써서. 쓰-[書, 寫]+어. 쓰어→써. 약모음 ‘ㅡ’ 탈락.
주009)
이:이것이. 이것은. 이+∅/이(영형태주격조사).
주010)
브터:의지하여. 븥-[憑]+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