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3 정수삼업(淨修三業)
  • 제3 정수삼업 034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3 정수삼업 034


선종영가집언해 상권:44ㄱ

何以故오 惡道衆生이 經無量劫히 闕衣乏食야 呌喚號毒야 飢寒이 切楚야 皮骨이 相連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엇뎨어뇨 주001)
엇뎨어뇨:
어째서인가? 엇뎨+∅/이-(영형태서술격조사)+어/거+니+오/고. ‘ㄱ’ 탈락. 음절축약. ‘-니-’는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ㄱ’이 약화하여 결국 탈락함.
惡道 주002)
악도(惡道):
악취(惡趣). 나쁜 일을 지은 탓으로 장차 태어날 곳. 여기에 삼악도·사악도·오악도 등이 있음.
衆生이 無量劫을 디나게 옷 업스며 밥 업서 울어 셜우믈 주003)
셜우믈:
서러움을, 괴로움을. -[悲哀]+우+ㅁ+을. 움을→셜믈〉셜우믈.
블러 주리며 치우미 주004)
치우미:
추움이. -[寒]+우+ㅁ+이→치미〉치우미.
 셜워 주005)
갓:
살갗. 피부.
왜 주006)
왜:
뼈가. +와(접속조사)+ㅣ.
서르 니니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어째서인가? 악도 중생이 무량겁을 지나도록 옷이 없으며 밥이 없어서 울고 괴로움을 부르짖어 굶주리며 추움이 매우 고통스러워 살가죽과 뼈가 서로 이어지니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地獄經에 云샤 一은 作業定이오 二 果報定이니 諸佛威神의 所不能轉이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地獄經 주007)
지옥경(地獄經):
≪불설죄업보응교화지옥경(佛說罪業報應敎化地獄經)≫의 줄인 말. 신상보살이 20종류의 악한 과보에 대한 죄의 원인을 부처에게 묻고 부처는 그에 대해서 일일이 답변한 내용인데 후한의 안세고가 번역함. 전 1권.
에 니샤 나 作業定 주008)
작업정(作業定):
정토문(淨土門)에서 말하는 안심(安心)·기업(起業)·작업(作業) 중의 하나. 안심을 얻은 뒤에 몸·입·뜻 등으로 오념문 등을 수행할 때 이것을 수행하는 모양을 말함. 정(定)은 마음을 한 곳에 머물게 하여 흩어지지 않게 하는 것으로 생득선정(生得禪定)과 수득선정(修得禪定) 등이 있음.
이오 둘흔 果報定 주009)
과보정(果報定):
과와 보를 아울러 과보라 함. 동류인(同類因)으로 생기는 결과를 ‘과’, 이숙인(異熟因)으로 생기는 결과를 ‘보’라 함.
이니 諸佛ㅅ 威神 주010)
위신(威神):
무게가 있고 그윽함.
의 能히 옮기디 몯홀 꼬디라 주011)
몯홀 꼬디라:
못할 바이다. 몯+-[不能]+오+ㄹㆆ+곧[所]+이-(서술격조사)+라.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지옥경≫에 이르시되. “하나는 작업정이고 둘은 과보정이니, 모든 부처님의 위신이 능히 옮기지 못할 바이다.”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엇뎨어뇨:어째서인가? 엇뎨+∅/이-(영형태서술격조사)+어/거+니+오/고. ‘ㄱ’ 탈락. 음절축약. ‘-니-’는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ㄱ’이 약화하여 결국 탈락함.
주002)
악도(惡道):악취(惡趣). 나쁜 일을 지은 탓으로 장차 태어날 곳. 여기에 삼악도·사악도·오악도 등이 있음.
주003)
셜우믈:서러움을, 괴로움을. -[悲哀]+우+ㅁ+을. 움을→셜믈〉셜우믈.
주004)
치우미:추움이. -[寒]+우+ㅁ+이→치미〉치우미.
주005)
갓:살갗. 피부.
주006)
왜:뼈가. +와(접속조사)+ㅣ.
주007)
지옥경(地獄經):≪불설죄업보응교화지옥경(佛說罪業報應敎化地獄經)≫의 줄인 말. 신상보살이 20종류의 악한 과보에 대한 죄의 원인을 부처에게 묻고 부처는 그에 대해서 일일이 답변한 내용인데 후한의 안세고가 번역함. 전 1권.
주008)
작업정(作業定):정토문(淨土門)에서 말하는 안심(安心)·기업(起業)·작업(作業) 중의 하나. 안심을 얻은 뒤에 몸·입·뜻 등으로 오념문 등을 수행할 때 이것을 수행하는 모양을 말함. 정(定)은 마음을 한 곳에 머물게 하여 흩어지지 않게 하는 것으로 생득선정(生得禪定)과 수득선정(修得禪定) 등이 있음.
주009)
과보정(果報定):과와 보를 아울러 과보라 함. 동류인(同類因)으로 생기는 결과를 ‘과’, 이숙인(異熟因)으로 생기는 결과를 ‘보’라 함.
주010)
위신(威神):무게가 있고 그윽함.
주011)
몯홀 꼬디라:못할 바이다. 몯+-[不能]+오+ㄹㆆ+곧[所]+이-(서술격조사)+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