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06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06


戒憍奢意第二

戒憍奢第二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燆慢며 奢侈  警戒혼 第二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교만하며 사치한 뜻을 경계한 제이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前明慕道而已親仁 更若憍奢 道何由辦 劉子云 奢心易動 儉志難悛

[說誼]前明慕道애 而已親仁나 更若憍奢면 道 何由辦이리오 劉子ㅣ 云호 奢心은 易動이오 儉志 難悛이라 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알 慕道 주001)
모도(慕道):
도를 생각함.
기샤매 주002)
기샤매:
밝히심에. -[明]+기(사동접미사)+시+아+ㅁ+애.
마 仁을 親나  다가 주003)
다가:
만약.
憍奢면 道 어딀브터 주004)
어딀브터:
어디로부터. 무엇으로 말미암아서. 어듸+ㄹ+븥-[由]+어.
일우리오 劉子 주005)
유자(劉子):
〈유자(劉子)〉의 저자. ‘유효표’라고 하나 분명치 않음.
ㅣ 닐오 奢心은 뮈유미 주006)
뮈유미:
움직이기가. 뮈-+유+ㅁ+이. ‘-우-→-유-’는 ㅣ모음순행동화.
쉽고 儉志 고툐미 주007)
고툐미:
고침이. 바꾸기가. 고티-[悛]+오+ㅁ+이.
어려우니라 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앞에서 도를 생각함[慕道]을 밝히심에 이미 인(仁)을 가까이 하나, 또 만약 교만하고 사치스러우면 도를 무엇(어디)으로 말미암아서 이루겠는가? 유자(劉子)가 이르되, “사치스러운 마음은 〈남이〉 움직이기 쉽고, 검소한 뜻은 〈남이〉 바꾸기가 어렵다.” 하였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모도(慕道):도를 생각함.
주002)
기샤매:밝히심에. -[明]+기(사동접미사)+시+아+ㅁ+애.
주003)
다가:만약.
주004)
어딀브터:어디로부터. 무엇으로 말미암아서. 어듸+ㄹ+븥-[由]+어.
주005)
유자(劉子):〈유자(劉子)〉의 저자. ‘유효표’라고 하나 분명치 않음.
주006)
뮈유미:움직이기가. 뮈-+유+ㅁ+이. ‘-우-→-유-’는 ㅣ모음순행동화.
주007)
고툐미:고침이. 바꾸기가. 고티-[悛]+오+ㅁ+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