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5 비파사나송(毗婆舍那頌)
  • 제5 비파사나송 024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5 비파사나송 024


皆由三業四儀ㅣ 六根所對예 隨情造業야 果報ㅣ 不同니 善則受樂고 惡則受苦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三業 주001)
삼업(三業):
신업(身業)·구업(口業)·의업(意業). 곧 신체의 동작·언어·의지의 작용.

선종영가집언해 상권:113ㄴ

주002)
사의(四儀):
사위의(四威儀). 수행자의 생활에 있어서의 네 가지 몸가짐. 곧 행(行)·주(住)·좌(坐)·와(臥) 등을 말함.
六根 주003)
육근(六根):
여섯 가지 인식 기관. 곧 안근(眼根)·이근(耳根)·비근(鼻根)·설근(舌根)·신근(身根)·의근(意根) 등을 말함.
對호매 들 조차 業 지 주004)
지:
지음을. -[作]+오+ㅁ+.
브터 果報 주005)
과보(果報):
전에 행동한 선업(善業)에 의해 나중에 보로서 낙과(樂果)를 받고, 또 악업(惡業)에 의해 고과(苦果)를 받는 것을 말함.
ㅣ 디 아니니 善면 樂 受고 惡면 苦 受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다 삼업과 사의가 육근을 대함에 뜻을 좇아 업을 지음으로 말미암아 과보가 같지 아니하니, 선하면 즐거움을 받고 악하면 고통을 받는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學道之流 須洞因果ㅣ니 苦樂兩報ㅣ 皆由宿因니 若見喜殺長壽며 好施貧乏고 不生邪見호리라 釋論애 云샤 我今疾苦 皆由過去ㅣ오 今生脩福은 報ㅣ 在將來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道 호 무른 주006)
무른:
무리는. 물[衆]+은.
모로매 因果  아로리니 苦樂 두 報ㅣ다 녯 因을 븓니 주007)
븓니:
말미암으니. 븓-[由]++니. ‘븥-→븓-’ 팔종성 표기법.
다가 殺生 즐기리 주008)
즐기리:
즐기는 이가. 즐기-[喜]+ㄹ+이+∅/이(영형태주격조사).
長壽며 布施 즐기리 艱難  보고 邪見을 내디 마로리라

선종영가집언해 상권:114ㄱ

주009)
석론(釋論):
①≪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을 해석한 책. ②경전의 문의(文義)를 하나하나 해석하는 것을 말함. 여기서는 ①의 의미.
애 니샤 내 이젯 病苦 다 過去를 븓고 이 生애 福 닷고 報ㅣ 將來예 잇니라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도를 배우는 무리는 모름지기 인과를 훤히 알아야 할 것이니, 괴로움과 즐거움 두 업보가 다 옛 원인에 말미암으니, 만약 살생을 즐기는 이가 장수하며 보시를 즐기는 이가 가난한 것을 보고 잘못된 생각을 내지(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석론≫에 이르시되, “나의 이제 겪는 병고는 다 과거에 말미암은 것이고, 이 생에서 복을 닦음은 과보가 장래(미래)에 있다.”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삼업(三業):신업(身業)·구업(口業)·의업(意業). 곧 신체의 동작·언어·의지의 작용.
주002)
사의(四儀):사위의(四威儀). 수행자의 생활에 있어서의 네 가지 몸가짐. 곧 행(行)·주(住)·좌(坐)·와(臥) 등을 말함.
주003)
육근(六根):여섯 가지 인식 기관. 곧 안근(眼根)·이근(耳根)·비근(鼻根)·설근(舌根)·신근(身根)·의근(意根) 등을 말함.
주004)
지:지음을. -[作]+오+ㅁ+.
주005)
과보(果報):전에 행동한 선업(善業)에 의해 나중에 보로서 낙과(樂果)를 받고, 또 악업(惡業)에 의해 고과(苦果)를 받는 것을 말함.
주006)
무른:무리는. 물[衆]+은.
주007)
븓니:말미암으니. 븓-[由]++니. ‘븥-→븓-’ 팔종성 표기법.
주008)
즐기리:즐기는 이가. 즐기-[喜]+ㄹ+이+∅/이(영형태주격조사).
주009)
석론(釋論):①≪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을 해석한 책. ②경전의 문의(文義)를 하나하나 해석하는 것을 말함. 여기서는 ①의 의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