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서문
  • 선종영가집 서(禪宗永嘉集序)
  • 선종영가집 서 041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종영가집 서 041


庶同歸郢노니 悟者 得意忘言耳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가지로 주001)
가지로:
함께.
주002)
영(郢):
중국 초나라의 수도. 〈장자(莊子)〉에 이 땅의 사람들은 움직이지 않는 부동지성(不動之性)이 있다 하는데, 여기서는 영가(永嘉) 스님을 말함.
에 가 라노니 아닌 주003)
아닌:
깨달아 안 사람은. 알-[悟]+ㄴ+이[者]+ㄴ.
들 得고 주004)
득(得)고:
득하고. 얻고. 득+-(탈락)+고.
마 니줄띠니라 주005)
니줄띠니라:
잊을지니라. 닞-[忘]+우+ㄹㆆ++ㅣ+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함께 에 감(가기)을 바라노니, 깨달아 안 이는 뜻을 얻고 말을 잊을지니라.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望諸學法之流ㅣ 同契我師之道노라 니라 庶

선종영가집언해 서:16ㄴ

望也ㅣ라 郢은 爲郢人니 卽指大師니 文出莊子爾니라 得魚忘筌이 此之謂也ㅣ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여러 法 홀 무리 주006)
무리:
무리가. 물[衆]+이(주격조사).
가지로 주007)
가지로:
한결같이.
우리 師ㅅ 주008)
사(師)ㅅ:
스승의. ‘-ㅅ’은 무정물이나 존칭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道애 마조 라노라 니라 庶 랄씨라 郢은 郢人을 니르니 곧 大師 치오니 주009)
치오니:
가리키오니. 치-[指]++()니→치니〉치오니. ‘치다’는 [敎]와 [指]의 뜻으로 두루 쓰이는데, 여기서는 후자에 해당함.
그리 莊子애 나니라 고기 得고 筌을 니주미 주010)
니주미:
잊음이. 닞-[忘]+우+ㅁ+이.
이 니니라 주011)
전(筌):
통발.
 고기 잡 그르시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여러 법을 배우는 무리가 함께 우리 스승의 도에 맞음(맞기)을 바라노라” 하였다. ‘서’는 바라는 것이다. ‘영’은 ‘영’ 지방의 사람을 이른 것이니 곧 대사를 가리키니, 〈이〉 글은 ≪장자≫에서 나온 것이다. 고기를 얻고 통발을 잊음이 이를 이른 것이다【전(筌)은 고기 잡는 그릇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가지로:함께.
주002)
영(郢):중국 초나라의 수도. 〈장자(莊子)〉에 이 땅의 사람들은 움직이지 않는 부동지성(不動之性)이 있다 하는데, 여기서는 영가(永嘉) 스님을 말함.
주003)
아닌:깨달아 안 사람은. 알-[悟]+ㄴ+이[者]+ㄴ.
주004)
득(得)고:득하고. 얻고. 득+-(탈락)+고.
주005)
니줄띠니라:잊을지니라. 닞-[忘]+우+ㄹㆆ++ㅣ+니라.
주006)
무리:무리가. 물[衆]+이(주격조사).
주007)
가지로:한결같이.
주008)
사(師)ㅅ:스승의. ‘-ㅅ’은 무정물이나 존칭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주009)
치오니:가리키오니. 치-[指]++()니→치니〉치오니. ‘치다’는 [敎]와 [指]의 뜻으로 두루 쓰이는데, 여기서는 후자에 해당함.
주010)
니주미:잊음이. 닞-[忘]+우+ㅁ+이.
주011)
전(筌):통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