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4 사마타송(奢摩他頌)
  • 제4 사마타송 069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4 사마타송 069


自受用身은 有智德시니 具四智眞實功德故ㅣ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自受用身 주001)
자수용신(自受用身):
마음속의 지혜가 밝고 항상 진리를 비추어 스스로 그 즐거움을 즐기는 불신(佛身). 타수용신(他受用身)의 반대.
은 智德이 겨시니 四智 주002)
사지(四智):
부처님의 지혜로 대원경지·평등성지·묘관찰지·성소작지를 말함. 유식(唯識)의 이치에 들어가기 위한 네 가지의 지혜.
ㅣ 眞實 功德이 신 주003)
신:
구비되신. 갖추어지신. -[具]+()시+ㄴ(관형형어미).
젼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자수용신은 지덕이 있으시니, 사지가 진실로 공덕이(을) 구비되신(구비하신) 까닭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準唯識論컨댄 轉於八識야 以成四智니 轉第八야 成大圓鏡智고 轉第七야 爲平等性智고 轉第六야 爲妙觀察智고 轉五識야 爲成所作

선종영가집언해 상권:87ㄴ

智니 此之四智ㅣ 能嚴法身야 不就他야 論일 故로 云샤 眞實功德이라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唯識論 주004)
유식론(唯識論):
≪성유식론(成唯識論)≫의 다른 이름. 유식종(唯識宗)의 중요한 책으로서 팔식(八識)을 자세히 말하여 인식의 과정을 명백히 하고, 또 실천적 수행의 오계위(五階位)를 논함.
마초건댄 주005)
마초건댄:
맞추건댄. 맞-[準]+호(사동접미사)+거+ㄴ대+ㄴ(보조사).
八識 주006)
팔식(八識):
유식종(唯識宗)에서 나누는 식의 종류. 즉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말나식(末那識)·아뢰야식(阿賴耶識) 등을 말함.
을 옮겨 四智 일우니 第八을 옮겨 大圓鏡智 주007)
대원경지(大圓鏡智):
거울과 같이 모든 모습을 비추어내는 지혜.
 일우고 第七을 옮겨 平等性智 주008)
평등성지(平等性智):
자기와 타인과의 평등성을 이해하는 지혜.
오 주009)
오:
만들고. -[製作]+고. ㄹ 뒤에서 ㄱ 약화.
第六을 옮겨 妙觀察智 주010)
묘관찰지(妙觀察智):
대상에 관해서 충분히 관찰하는 지혜.
 오 五識 주011)
오식(五識):
눈·귀·코·혀·몸의 다섯 개의 감각기관에 의해 생겨나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이라는 다섯 개의 대상에 상응하는 감각기관. 즉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 등을 말함.
을 옮겨 成所作智 주012)
성소작지(成所作智):
이루어야 할 것을 완수하는 지혜.
 니 이 四智 能히 法身을 莊嚴야 주013)
장엄(莊嚴)야:
화려하게 꾸며. 동사로서 현대국어 형용사인 ‘장엄하다(규모가 크고 엄숙하다)’와는 의미가 다름.
년 듸 주014)
년 듸:
다른 데. 녀느[他]+(의존명사)+의(처소부사격조사). ‘녀느’는 곡용 시에 끝모음이 줄고 ㄱ이 첨가되는 ‘ㄱ곡용어’임. ¶나모[木]. 구무[穴].
나가 닐올띠 주015)
닐올띠:
말할 것이. 니-[說]+오+ㄹㆆ+(의존명사)+ㅣ(보격조사).
아닐 니샤 眞實功德이라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유식론≫에 맞추건댄, 팔식을 옮겨 사지를 이루는 것이니, 제팔을 옮겨 대원경지를 이루고, 제칠을 옮겨 평등성지를 만들고, 제육을 옮겨 묘관찰지를 만들고, 오식을 옮겨 성소작지를 만드니, 이 사지가 능히 법신을 장엄하여 다른 데로 나아가 말할 것이 아니므로 이르시되 “진실한 공덕이다.”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자수용신(自受用身):마음속의 지혜가 밝고 항상 진리를 비추어 스스로 그 즐거움을 즐기는 불신(佛身). 타수용신(他受用身)의 반대.
주002)
사지(四智):부처님의 지혜로 대원경지·평등성지·묘관찰지·성소작지를 말함. 유식(唯識)의 이치에 들어가기 위한 네 가지의 지혜.
주003)
신:구비되신. 갖추어지신. -[具]+()시+ㄴ(관형형어미).
주004)
유식론(唯識論):≪성유식론(成唯識論)≫의 다른 이름. 유식종(唯識宗)의 중요한 책으로서 팔식(八識)을 자세히 말하여 인식의 과정을 명백히 하고, 또 실천적 수행의 오계위(五階位)를 논함.
주005)
마초건댄:맞추건댄. 맞-[準]+호(사동접미사)+거+ㄴ대+ㄴ(보조사).
주006)
팔식(八識):유식종(唯識宗)에서 나누는 식의 종류. 즉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말나식(末那識)·아뢰야식(阿賴耶識) 등을 말함.
주007)
대원경지(大圓鏡智):거울과 같이 모든 모습을 비추어내는 지혜.
주008)
평등성지(平等性智):자기와 타인과의 평등성을 이해하는 지혜.
주009)
오:만들고. -[製作]+고. ㄹ 뒤에서 ㄱ 약화.
주010)
묘관찰지(妙觀察智):대상에 관해서 충분히 관찰하는 지혜.
주011)
오식(五識):눈·귀·코·혀·몸의 다섯 개의 감각기관에 의해 생겨나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이라는 다섯 개의 대상에 상응하는 감각기관. 즉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 등을 말함.
주012)
성소작지(成所作智):이루어야 할 것을 완수하는 지혜.
주013)
장엄(莊嚴)야:화려하게 꾸며. 동사로서 현대국어 형용사인 ‘장엄하다(규모가 크고 엄숙하다)’와는 의미가 다름.
주014)
년 듸:다른 데. 녀느[他]+(의존명사)+의(처소부사격조사). ‘녀느’는 곡용 시에 끝모음이 줄고 ㄱ이 첨가되는 ‘ㄱ곡용어’임. ¶나모[木]. 구무[穴].
주015)
닐올띠:말할 것이. 니-[說]+오+ㄹㆆ+(의존명사)+ㅣ(보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