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10 발원문(發願文)
  • 제10 발원문 006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0 발원문 006


慈悲方便으로 拔諸苦야 不捨弘願야 濟含靈호 化力이 自在야 度無窮야 恒沙衆生이 成正覺게 야지

선종영가집언해 권하:133ㄱ

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慈悲 方便으로 諸苦  주001)
:
뽑아내어. -+-+Ø/어.
弘願을 리디 아니야 含靈을 濟度호 化力이 自在야 度호미 無窮야 恒沙衆生 주002)
항사중생(恒沙衆生):
항하사만큼 많은 중생. 항하(恒河)는 인도의 갠지스강을 말하며 이 강가의 모래알 수만큼 많은 수를 항하사수라 함.
이 正覺 일우게 야지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자비하신 방편으로 모든 고(苦)를 뽑아내어 큰 서원을 버리지 아니하여 중생을 구제하되 교화의 힘이 자재하여 제도함이 끝이 없으며 항하사같이 많은 중생이 정각을 이루게 하여지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諸苦 謂三苦八苦ㅣ오 弘願은 謂通願別願이니 諸聖因中에 盡有시니 應當起行墳願샤 令含識之流로 成無上道ㅣ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諸苦 三苦 주003)
삼고(三苦):
세 가지의 고통. 고고(苦苦), 괴고(壞苦), 행고(行苦)를 이름.
八苦 주004)
팔고(八苦):
사람이 세상에서 면하기 어렵다고 하는 여덟 가지 괴로움. 곧 생고, 노고, 병고, 사고, 애별리고, 원증회고, 구부득고, 오음성고를 이름.
 니샤미오 弘願은 通願別願을 니샤미니 諸聖ㅅ因 中에 다 겨시니 반기 行 니와다 願을 몃구샤 주005)
몃구샤:
메우시어. 몃구-[埋]+시+아.
含識의 물로 無上道 주006)
무상도(無上道):
‘불도(佛道)’를 달리 이르는 말.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도.
 일우게 호미

선종영가집언해 권하:133ㄴ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모든 고(苦)는 3고(三苦)와 8고(八苦)를 이르심이고. 홍원(弘願)은 통원(通願)과 별원(別願)을 이르심이니, 모든 성인의 인행 중에 다 계시니, 반드시 행(行)을 일으켜 원을 메우시어 중생의 무리로 무상도(無上道)를 이루게 함이시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뽑아내어. -+-+Ø/어.
주002)
항사중생(恒沙衆生):항하사만큼 많은 중생. 항하(恒河)는 인도의 갠지스강을 말하며 이 강가의 모래알 수만큼 많은 수를 항하사수라 함.
주003)
삼고(三苦):세 가지의 고통. 고고(苦苦), 괴고(壞苦), 행고(行苦)를 이름.
주004)
팔고(八苦):사람이 세상에서 면하기 어렵다고 하는 여덟 가지 괴로움. 곧 생고, 노고, 병고, 사고, 애별리고, 원증회고, 구부득고, 오음성고를 이름.
주005)
몃구샤:메우시어. 몃구-[埋]+시+아.
주006)
무상도(無上道):‘불도(佛道)’를 달리 이르는 말.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