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7 삼승점차(三乘漸次)
  • 제7 삼승점차 017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7 삼승점차 017


或有不因他說야 自悟非常야 偶緣散而體眞 故名緣覺이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시혹  마 因티 주001)
인(因)티:
기인(起因)하지. 인(因)+-+디. -+디→티. ‘ㆍ’ 탈락. 음운 축약.
아니야 제 非常 주002)
비상(非常):
무상(無常)과 같은 의미로 항구불변하지 못한 것.
 아라 마초아 緣이 흗거든 주003)
흗거든:
흩어지거든. 흗-[散]+거든. 흩-→흗-. 8종성표기.
眞 알 일후미 緣覺이니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혹시 남의 말을 기인(起因)하지 아니하여
(=도)
스스로 무상함을 알아서 맞추어 인연이 흩어지거든 진리를 알므로 〈그〉 이름이 연각(緣覺)이니,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文含二覺니 讀者ㅣ 應知니라 大論애 云샤 若出無佛世야 自然悟道면 此 卽獨覺이오 若出

선종영가집언해 권하:43ㄱ

佛世야 聞十二因緣法야 稟此得道면 故名緣覺이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文이 두 覺 머구므니 주004)
머구므니:
머금으니. 함축하니. 머굼-[含]+(으)니.
닐그리 주005)
닐그리:
읽는 사람이. 닑-[讀]+(으)ㄹㆆ+이.
아롤띠니라 주006)
아롤띠니라:
알 것이다. 알-[知]+오+ㄹㆆ++이-+니+라.
大論 주007)
대론(大論):
〈대지도론(大智度論)〉. 마하반야바라밀경을 자세히 풀이한 책. 용수보살이 짓고 구마라습이 번역함. 총 100권.
애 니샤 다가 부텨 업스신 世예 나 自然히 道 알면 이 곧 獨覺이오 다가 부텻 世예 나 十二因緣法 듣와 주008)
듣와:
들어서. 듣-[聞]++아. 듣〉듣와. ㄷ변칙활용. ㅸ+아/어〉와/워.
이 가져 道 得면 그럴 일후미 緣覺이라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 글이 두 가지 깨달음을 머금고 있으니 읽는 사람이 알 것이다. 〈대지도론(大智度論)〉에 이르시되, “만약 부처가 없으신 세계에 나서 자연히 도(道)를 알면 이는 곧 독각(獨覺)이고, 만약에 부처 세계에 나서 12인연법을 듣자와 이를 가져 도를 터득하면 그러하기 때문에 이름이 연각(緣覺)이다.”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인(因)티:기인(起因)하지. 인(因)+-+디. -+디→티. ‘ㆍ’ 탈락. 음운 축약.
주002)
비상(非常):무상(無常)과 같은 의미로 항구불변하지 못한 것.
주003)
흗거든:흩어지거든. 흗-[散]+거든. 흩-→흗-. 8종성표기.
주004)
머구므니:머금으니. 함축하니. 머굼-[含]+(으)니.
주005)
닐그리:읽는 사람이. 닑-[讀]+(으)ㄹㆆ+이.
주006)
아롤띠니라:알 것이다. 알-[知]+오+ㄹㆆ++이-+니+라.
주007)
대론(大論):〈대지도론(大智度論)〉. 마하반야바라밀경을 자세히 풀이한 책. 용수보살이 짓고 구마라습이 번역함. 총 100권.
주008)
듣와:들어서. 듣-[聞]++아. 듣〉듣와. ㄷ변칙활용. ㅸ+아/어〉와/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