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7 삼승점차(三乘漸次)
  • 제7 삼승점차 083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7 삼승점차 083


境과 智왜 合以圓虛며 定과 慧왜 均而等妙야 桑

선종영가집언해 권하:78ㄴ

田이 改호 而心은 無易며 海嶽이 遷호 而志 不移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주001)
경(境):
경계(境界).
과 智왜 合야 두려이 주002)
두려이:
원만하게. 두-[圓]+이(부사화접미사). ㅂ변칙활용. 현대국어 ‘두렵-[恐]’의 중세국어 형태는 ‘두립-’임.
虛며 주003)
정(定):
선정(禪定).
주004)
혜(慧):
지혜(知慧).
골아 주005)
골아:
골라. 고르-[均]+아. 르변칙활용.
티 주006)
티:
함께. -[如]+이(부사화접미사). ‘ㆍ’ 탈락. 음운 축약을 거쳐 ‘티〉같이’로 형태가 변함. 현대국어 ‘같이’는 조사, 부사로도 쓰임.
妙야 바티 주007)
바티:
뽕나무 밭이. [桑]+밭[田]+이.
가요 주008)
가요:
변하되. 가-[改]+요/오+.
 改易 주009)
개역(改易):
변함. 바뀜.
업스며 바와 주010)
바와:
바다와. 바[海]+와/과. 중세국어에서 ‘바다ㅎ[海]’와 공존하였으나. ‘바다ㅎ’와의 경쟁에서 밀려 소멸함.
뫼히 올모 주011)
올모:
옮되. 옮-[移]+오+.
든 옮디 아니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경계와 지혜가 합하여 원만하게 공허하며, 선정과 지혜가 골라 함께 오묘하여 뽕밭이 변하되 마음은 변함이 없으며, 바다와 산이 옮되 뜻은 옮지 아니하여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旣達境智의 恒如ㅣ어니 豈爲改遷의 所動이리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마 境智의 녜 주012)
녜:
늘. 항상. 한자어 ‘상례(常例)’에서 온 말.
如호 주013)
여(如)호:
같음을. 여(如)+-+오+ㅁ+.
알어니 주014)
알어니:
알-[知]+어/거+니.
엇뎨 가며 올모 뮈우미 주015)
뮈우미:
움직임이. 뮈-[動]+우+ㅁ+이(보격조사). ‘외-’ 앞에 나타나는 ‘이’는 보격조사임.
외리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미 경계와 지혜가 항상 같음을 알거니와 어찌 변하며 옮음의 움직임이 되겠는가?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경(境):경계(境界).
주002)
두려이:원만하게. 두-[圓]+이(부사화접미사). ㅂ변칙활용. 현대국어 ‘두렵-[恐]’의 중세국어 형태는 ‘두립-’임.
주003)
정(定):선정(禪定).
주004)
혜(慧):지혜(知慧).
주005)
골아:골라. 고르-[均]+아. 르변칙활용.
주006)
티:함께. -[如]+이(부사화접미사). ‘ㆍ’ 탈락. 음운 축약을 거쳐 ‘티〉같이’로 형태가 변함. 현대국어 ‘같이’는 조사, 부사로도 쓰임.
주007)
바티:뽕나무 밭이. [桑]+밭[田]+이.
주008)
가요:변하되. 가-[改]+요/오+.
주009)
개역(改易):변함. 바뀜.
주010)
바와:바다와. 바[海]+와/과. 중세국어에서 ‘바다ㅎ[海]’와 공존하였으나. ‘바다ㅎ’와의 경쟁에서 밀려 소멸함.
주011)
올모:옮되. 옮-[移]+오+.
주012)
녜:늘. 항상. 한자어 ‘상례(常例)’에서 온 말.
주013)
여(如)호:같음을. 여(如)+-+오+ㅁ+.
주014)
알어니:알-[知]+어/거+니.
주015)
뮈우미:움직임이. 뮈-[動]+우+ㅁ+이(보격조사). ‘외-’ 앞에 나타나는 ‘이’는 보격조사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