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9 권우인서(勸友人書)
  • 제9 권우인서 036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9 권우인서 036


徵違納順면 怨債이 由來善友矣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違 무러 주001)
무러:
물어. 가져다가. 데려다. 물-[噬]+어.
順에 드리면 寃讐ㅣ 本來 이든 주002)
이든:
좋은. 읻-[善]+은.
버디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거스름을 물어다가 순응함에 바치면 원수가 본래 좋은 벗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莊子ㅣ 云호 於我善者애 吾亦善之고 於我惡者애 吾亦善之라 니 莊子도 尙爾온 況道人乎여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莊子 주003)
장자(莊子):
중국 전국 시대의 사상가(?B.C.365~?B.C.270). 이름은 주(周). 도가 사상의 중심인물로, 유교의 인위적인 예교(禮敎)를 부정하고 자연으로 돌아가자는 자연 철학을 제창함. ‘남화진인’이라 추호(追號)됨. 저서에《莊子》가 있음.
ㅣ 닐오 내게 이대 주004)
이대:
잘. 좋게.
 싸매 내  이대 고 내게 구지 주005)
구지:
나쁘게. 궂-[惡]+이(부사화접미사).
 싸매 내  이대

선종영가집언해 권하:122ㄱ

호리라 니 莊子도 오히려 그러콘 주006)
이러콘:
이러하곤. 이러한대. 이러+-+곤. 약모음 ‘ㆍ’ 탈락. 음운 축약.
며 道人이녀 주007)
이녀:
-이야 말해 무엇하겠는가? 이-+녀(감탄형종결어미).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장자가 이르되, “내게 좋게 하는 사람에게 내가 또 좋게 하고, 내게 나쁘게 하는 사람에게 내가 또 좋게 하리라.” 하니, 장자도 오히려 이러한데 하물며 도인이야 말해 무엇하겠는가?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무러:물어. 가져다가. 데려다. 물-[噬]+어.
주002)
이든:좋은. 읻-[善]+은.
주003)
장자(莊子):중국 전국 시대의 사상가(?B.C.365~?B.C.270). 이름은 주(周). 도가 사상의 중심인물로, 유교의 인위적인 예교(禮敎)를 부정하고 자연으로 돌아가자는 자연 철학을 제창함. ‘남화진인’이라 추호(追號)됨. 저서에《莊子》가 있음.
주004)
이대:잘. 좋게.
주005)
구지:나쁘게. 궂-[惡]+이(부사화접미사).
주006)
이러콘:이러하곤. 이러한대. 이러+-+곤. 약모음 ‘ㆍ’ 탈락. 음운 축약.
주007)
이녀:-이야 말해 무엇하겠는가? 이-+녀(감탄형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