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6 우필차송(優畢叉頌)
  • 제6 우필차송 074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6 우필차송 074


欲明宗旨 無異호 言觀은 有逐方移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宗과 旨와 달옴 주001)
달옴:
다름이. 다-[異]+오+ㅁ+Ø/이(영형태주격조사). 변칙활용.
업수 言과 觀 方 조차 올몸 주002)
올몸:
옮음이. 옮김. 옮-[移]+오+ㅁ+Ø/이(영형태주격조사).
이쇼 주003)
이쇼:
있음을. 이시-[有]+오+ㅁ+.
기고졔니 주004)
기고졔니:
밝히고자 하니. -[明]+이(사동접미사)+고져(의도형어말어미)+ㅣ-+니. 어말어미 뒤에 ‘-ㅣ다’ 서술격조사가 붙은 형태임.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종(宗)과 지(旨)는 다름이 없되 말과 관(觀)은 방소
(=방편)
에 따라 옮음이 있음을 밝히고자 하니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言移면 則設敎ㅣ 千端이나 何乖其旨며 觀移면 則造脩ㅣ 萬種이나 安易其宗이리오 良由理智 同源나 機緣이 異轍이니 是以로 言兼權實고 觀帶淺深니 爲明宗旨玄微샤 欲顯且隨言觀이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言이 올면 敎 펴미 千端이나 엇뎨 그 旨 어긔며 觀이 올면 지 닷

선종영가집언해 권하:32ㄱ

고미 萬種이나 엇뎨 그 宗이 밧고리오 實로 理와 智 根源이 나 機緣이 자최 달오 브테니 주005)
브테니:
따름이니. 말미암음이니. 븥-[由]+어(연결형어말어미)+ㅣ-+니. 어말어미 뒤에 ‘-ㅣ다’ 서술격조사가 붙은 형태임.
이런로 주006)
이런로:
이런 까닭으로. 이런++로. ‘’는 의존명사로 ‘까닭’의 뜻임.
言 權實이 兼코 觀 淺深 가졧니 주007)
가졧니:
가지고 있으니. 가졌으니. 가지-[持]+어+잇[有]++니. 후대에 ‘어잇〉엣〉었’으로 형태변화하여 과거시제선어말어미 형태가 생성됨.
宗旨의 玄微 교 爲샤  言觀 조초 나토고져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말이 옮으면
(=달라지면)
가르침을 폄이 천 갈래이나 어찌 그 지(旨)를 어기며, 관(觀)이 옮으면 지어 닦음이 만 가지 종류이나 어찌 그 종(宗)이 바뀌겠는가? 진실로 진리와 지혜는 근원이 같으나 근기와 인연은 자취가 다름을 말미암음이니 이런 까닭으로 말은 방편과 실상이
(=을)
겸하고 관(觀)은 얕고 깊음을 가졌으니 종지의 현미함을 밝힘을
(=밝히기)
위하여 또 말과 관(觀)을 좇음
(=따름)
을 나타내고자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달옴:다름이. 다-[異]+오+ㅁ+Ø/이(영형태주격조사). 변칙활용.
주002)
올몸:옮음이. 옮김. 옮-[移]+오+ㅁ+Ø/이(영형태주격조사).
주003)
이쇼:있음을. 이시-[有]+오+ㅁ+.
주004)
기고졔니:밝히고자 하니. -[明]+이(사동접미사)+고져(의도형어말어미)+ㅣ-+니. 어말어미 뒤에 ‘-ㅣ다’ 서술격조사가 붙은 형태임.
주005)
브테니:따름이니. 말미암음이니. 븥-[由]+어(연결형어말어미)+ㅣ-+니. 어말어미 뒤에 ‘-ㅣ다’ 서술격조사가 붙은 형태임.
주006)
이런로:이런 까닭으로. 이런++로. ‘’는 의존명사로 ‘까닭’의 뜻임.
주007)
가졧니:가지고 있으니. 가졌으니. 가지-[持]+어+잇[有]++니. 후대에 ‘어잇〉엣〉었’으로 형태변화하여 과거시제선어말어미 형태가 생성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