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7 삼승점차(三乘漸次)
  • 제7 삼승점차 056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7 삼승점차 056


是知諦似於河고 人之若獸니 聲聞은 最劣야 與

선종영가집언해 권하:62ㄴ

兎爲儔 雖復奔波 寧窮浪底ㅣ리오 未能知其深極야 位自居卑언 何必觀諦之流ㅣ 一槩同其成小ㅣ리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일로 아롤띠니 주001)
아롤띠니:
알 것이니. 알-[知]+오+ㄹㆆ++ㅣ-+니.
주002)
제(諦):
진실하여 변하지 않는 이치.
河ㅣ 주003)
하(河)ㅣ:
강과. 하(河)+ㅣ(비교부사격조사).
고 사 獸ㅣ 니 聲聞은 주004)
:
가장.
사오나외 주005)
사오나외:
사나워. 악하여. 열등하여. 사오-[惡, 劣]+아. 사오나〉사오나와. ‘외’는 ‘와’의 오각으로 보임.
톳기와 기 주006)
기:
짝이. [儔]+이.
욀 주007)
욀:
되므로. 외-[爲]+ㄹㆆ++ㅣ. ‘ㄹㆆ++ㅣ’는 ‘ㄹ’로 형태가 굳어짐.
비록 믌겨레 주008)
믌겨레:
물결에. 믈[水]+ㅅ+결[派]+에.
닌 주009)
닌:
다닌. 니-[步行]+ㄴ. 니-〉니-〉다니-. 비음화(자음접변), 동음 생략.
 엇뎨 믌결 미틀 다리오 주010)
다리오:
다하겠는가? 다-[窮, 盡]+리+오. 다-〉다-〉다하-. 유추에 의한 형태 변화.
能히 기픈 至極  아디 몯야 位 제 가온 주011)
가온:
낮은. -[底]+오+ㄴ. 가〉가온. 이것은 ‘가〉가온’으로 볼 수도 있음.
 이실 니언 엇뎨 구틔여 諦 觀 무리 티 주012)
티:
한결같이. +티. ㄹ 아래서 ㄱ 탈락. ‘티’는 ‘-+이’에서 ‘ㆍ’ 탈락과 음운 축약으로 생겨난 형태인 듯.
다 小 일우리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것으로 알 것이니 제(諦)는 강과 같고, 사람은 짐승과 같으니 성문은 가장 사나워
(=악하여)
토끼와 짝이 되므로 비록 물결에 다닌다 한들 어찌 물결 밑을 다하겠는가? 능히 깊은 지극한 데를 아지 못하여 위치가 스스로 낮은 데 있을 뿐이지 어찌 구태여 제(諦)를 관조하는 무리가 한결같이 다 작음을
(=작게)
이루겠는가?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下智 不深야 觀之自小ㅣ어니와 上根所造ㅣ 寧同小哉리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가온 智 깁디 몯야 觀호미 제 젹거니와 上根 주013)
상근(上根):
기근(機根)이 뛰어난 사람. 근(根)은 근성(根性)을 말하는 것으로 상근은 소질이나 능력이 뛰어난 사람.
나

선종영가집언해 권하:63ㄱ

가미
주014)
나가미:
나아감이. -+아+가-[進]+ㅁ+이.
엇뎨 小와 리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낮은 지혜는 깊지 못하여 관조함이 스스로 작거니와, 근성이 뛰어난 사람의 나아감이 어찌 〈근성이〉 작은 사람〈이 나아감〉과 같겠는가?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롤띠니:알 것이니. 알-[知]+오+ㄹㆆ++ㅣ-+니.
주002)
제(諦):진실하여 변하지 않는 이치.
주003)
하(河)ㅣ:강과. 하(河)+ㅣ(비교부사격조사).
주004)
:가장.
주005)
사오나외:사나워. 악하여. 열등하여. 사오-[惡, 劣]+아. 사오나〉사오나와. ‘외’는 ‘와’의 오각으로 보임.
주006)
기:짝이. [儔]+이.
주007)
욀:되므로. 외-[爲]+ㄹㆆ++ㅣ. ‘ㄹㆆ++ㅣ’는 ‘ㄹ’로 형태가 굳어짐.
주008)
믌겨레:물결에. 믈[水]+ㅅ+결[派]+에.
주009)
닌:다닌. 니-[步行]+ㄴ. 니-〉니-〉다니-. 비음화(자음접변), 동음 생략.
주010)
다리오:다하겠는가? 다-[窮, 盡]+리+오. 다-〉다-〉다하-. 유추에 의한 형태 변화.
주011)
가온:낮은. -[底]+오+ㄴ. 가〉가온. 이것은 ‘가〉가온’으로 볼 수도 있음.
주012)
티:한결같이. +티. ㄹ 아래서 ㄱ 탈락. ‘티’는 ‘-+이’에서 ‘ㆍ’ 탈락과 음운 축약으로 생겨난 형태인 듯.
주013)
상근(上根):기근(機根)이 뛰어난 사람. 근(根)은 근성(根性)을 말하는 것으로 상근은 소질이나 능력이 뛰어난 사람.
주014)
나가미:나아감이. -+아+가-[進]+ㅁ+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