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8 사리불이(事理不二)
  • 제8 사리불이 034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8 사리불이 034


體ㅣ 形야 而會면 則明形이 無別會니 形이 無別會면 則會ㅣ 本無也ㅣ며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體 나타 모면 나토미 다 모돔 업수미 니 주001)
니:
밝으니. 분명하니. -[明]+()니.
나토미 다 모돔 업스면 모도미 本來 업스며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실체가 나타나 모이면 나타남이 다른 모임이 없음이 밝으니, 나타남이 다른 모임이 없으면 모임이 본래 없으며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法性이 全爲無明이오 無明에 無別法性니 如全

선종영가집언해 권하:100ㄱ

水之波ㅣ 波ㅣ 恒非水니 以動義ㅣ 非濕故ㅣ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法性이 오로 주002)
오로:
온전히. 완전하게. 오-[全]+오(부사화접미사). 오로〉오로. ‘’ 탈락. 중세국어에서 ‘오로. 오로’ 두 형태가 공존함.
無明이오 無明에 다 法性 업스니 오 주003)
오:
온전한. 오-[全]+. ㄹ탈락. 오→오.
므린 주004)
므린:
물인. 믈[水]+이-+ㄴ. 믈〉물. 원순모음화.
겨리 주005)
겨리:
물결이. 결[水波]+이.
겨리 녜 믈 아뇸 주006)
아뇸:
아님. 아니-[非]+오+ㅁ.
니 주007)
니:
같듯 하니. -[如]++-+니. ‘’ 탈락.
뮈 주008)
뮈:
움직이는. 뮈-[動]++ㄴ.
디 저줌 주009)
저줌:
젖음. 젖-[濕]+우+ㅁ.
아니론 주010)
아니론:
아닌. 아니-[非]+Ø/ㅣ(영형태서술격조사)+로/오+ㄴ. ‘로’는 서술격조사 ‘이’ 아래에 나타나는 ‘오’의 이형태.
젼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법성이 온전히 무명이고 무명에 다른 법성이 없으니, 온전한 물인 물결이 항상 물이 아님과 같듯 하니 움직이는 뜻이 젖음이 아닌 까닭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밝으니. 분명하니. -[明]+()니.
주002)
오로:온전히. 완전하게. 오-[全]+오(부사화접미사). 오로〉오로. ‘’ 탈락. 중세국어에서 ‘오로. 오로’ 두 형태가 공존함.
주003)
오:온전한. 오-[全]+. ㄹ탈락. 오→오.
주004)
므린:물인. 믈[水]+이-+ㄴ. 믈〉물. 원순모음화.
주005)
겨리:물결이. 결[水波]+이.
주006)
아뇸:아님. 아니-[非]+오+ㅁ.
주007)
니:같듯 하니. -[如]++-+니. ‘’ 탈락.
주008)
뮈:움직이는. 뮈-[動]++ㄴ.
주009)
저줌:젖음. 젖-[濕]+우+ㅁ.
주010)
아니론:아닌. 아니-[非]+Ø/ㅣ(영형태서술격조사)+로/오+ㄴ. ‘로’는 서술격조사 ‘이’ 아래에 나타나는 ‘오’의 이형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