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7 삼승점차(三乘漸次)
  • 제7 삼승점차 005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7 삼승점차 005


선종영가집언해 권하:37ㄱ

順物시고 忘懷샤 施샤 而不作시며 終日說示샤 不異無言시니 設敎ㅣ 多途시나 無乖一揆ㅣ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주001)
물(物):
1)생물, 생명. 2)중생, 세상 사람들. 3)물건. 4)물체, 실체, 사물. 5)실체의 본성, 자성. 6)외계에 실재하는 것 등의 의미로 쓰임. 여기는 2)중생의 의미로 쓰임.
주002)
순(順):
순응함. 호응함.
시고 들 니즈샤 주003)
니즈샤:
잊으시어. 닞-[忘]+(으)시+아. 닞-〉잊-. 두음법칙.
펴샤 짓디 아니시며 져므록 주004)
져므록:
저물도록. 져믈-[暮]+록(익심형어미). ㄹ탈락. 져믈-〉저물-. 단모음화, 원순모음화.
닐어 뵈샤 말 업수매 주005)
업수매:
없음에, 없음과. 없-[無]+우+ㅁ+애(비교부사격조사).
다디 아니시니 敎 펴미 길히 주006)
길히:
길이, 방법이. 길ㅎ[道]+이. ㅎ곡용어.
하시나 주007)
하시나:
많으시나. 하-[多]+시+나.
주008)
규(揆):
법규.
어긔유미 주009)
어긔유미:
어김이. 어긋남이. 어긔-[乖]+유/우+ㅁ+이.
업스시니라【揆 혜아릴씨니 一揆는 혜아리건댄 그 道ㅣ 호 주010)
호:
같음을. -[如]+오+ㅁ+. -〉-. ‘니’ 형태에서 오분석한 형태변화.
니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중생들에게 호응하시고 뜻
(=생각)
을 잊으시어(잊으시기 때문에) 펴시되
(=베푸시되)
짓지
(=의도적이지)
아니하며 저물도록 말하여 보이시되 말씀 없음과 다르지 아니하시니 가르침을 폄에 방법이 많으시나 한 법규에 어그러짐이 없으시다.【규(揆)는 헤아리는 것이니 일규(一揆)는 헤아리건대 그 도(道)가 같음을 말한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順物은 照俗이시고 忘懷 照眞이시니 終日施爲시나 同歸無作이시니라 肇師ㅣ 云샤 談眞에 有不遷之稱시고 導俗에 有流動之說시니 雖復

선종영가집언해 권하:37ㄴ

千途ㅣ 異唱시나 會歸 同致矣시니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物順샤 俗照 주011)
속조(俗照):
속세를 비추심.
샤미시고  니샤 주012)
니샤:
잊으심은. 닞-[忘]+()시+아+ㅁ+.
眞照 주013)
진조(眞照):
진리를 비추심.
샤미시니 져므록 펴 시나 다 지 주014)
지:
지음이. -[作]+오+ㅁ+Ø/이(영형태주격조사).
업수매 주015)
업수매:
없음에. 없-[無]+우+ㅁ+애.
가시니라 肇師 주016)
조사(肇師):
승조법사(僧肇法師) (383~414). 중국 승려. 구마라습 문하 4철(四哲)의 한 사람. 도교에서 불교에 귀의. 구마라습을 스승으로 역경사업에 종사. 〈반야무지론〉 등 저서가 많음.
ㅣ 니샤 眞 니샤매 옮디 주017)
옮디:
옮기지. 옮-[移]+디.
아니타 닐우미 겨시고 俗 니샤매 흘러 뮈논 마리 겨시니 비록  千途ㅣ 닐오미 다시나 모다 주018)
모다:
모아서. 몯-[合]+아.
가 주019)
가:
감은. 가-[歸]+ㅁ+
 理시니라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중생들의 마음에 호응한다는 것은 속세를 비추심이고 뜻
(=생각)
을 잊으심은 진리를 비추심이니 저물도록 펴시되
(=베푸시되)
다 지음이 없음에 가신 것이다(다 하는 일이 없는 것과 같다). 승조법사가 말씀하시되, “진리를 말하심에 옮지 아니한 말이 있고 세속을 말함에 흘러 움직이는 말이 있으니 비록 또 천 갈래의 말함
(=가르침)
이 다르시나 모아서 감은 한 가지 이치이다.”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물(物):1)생물, 생명. 2)중생, 세상 사람들. 3)물건. 4)물체, 실체, 사물. 5)실체의 본성, 자성. 6)외계에 실재하는 것 등의 의미로 쓰임. 여기는 2)중생의 의미로 쓰임.
주002)
순(順):순응함. 호응함.
주003)
니즈샤:잊으시어. 닞-[忘]+(으)시+아. 닞-〉잊-. 두음법칙.
주004)
져므록:저물도록. 져믈-[暮]+록(익심형어미). ㄹ탈락. 져믈-〉저물-. 단모음화, 원순모음화.
주005)
업수매:없음에, 없음과. 없-[無]+우+ㅁ+애(비교부사격조사).
주006)
길히:길이, 방법이. 길ㅎ[道]+이. ㅎ곡용어.
주007)
하시나:많으시나. 하-[多]+시+나.
주008)
규(揆):법규.
주009)
어긔유미:어김이. 어긋남이. 어긔-[乖]+유/우+ㅁ+이.
주010)
호:같음을. -[如]+오+ㅁ+. -〉-. ‘니’ 형태에서 오분석한 형태변화.
주011)
속조(俗照):속세를 비추심.
주012)
니샤:잊으심은. 닞-[忘]+()시+아+ㅁ+.
주013)
진조(眞照):진리를 비추심.
주014)
지:지음이. -[作]+오+ㅁ+Ø/이(영형태주격조사).
주015)
업수매:없음에. 없-[無]+우+ㅁ+애.
주016)
조사(肇師):승조법사(僧肇法師) (383~414). 중국 승려. 구마라습 문하 4철(四哲)의 한 사람. 도교에서 불교에 귀의. 구마라습을 스승으로 역경사업에 종사. 〈반야무지론〉 등 저서가 많음.
주017)
옮디:옮기지. 옮-[移]+디.
주018)
모다:모아서. 몯-[合]+아.
주019)
가:감은. 가-[歸]+ㅁ+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