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7 삼승점차(三乘漸次)
  • 제7 삼승점차 048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7 삼승점차 048


선종영가집언해 권하:59ㄱ

譬夫三獸ㅣ 渡河컨댄 河一이 寧從獸合이리오 復何獨河ㅣ 非獸合이리오 亦乃獸ㅣ 不河分이리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三獸 주001)
삼수(三獸):
세 짐승.
ㅣ 河 건너믈 가비건댄 주002)
가비건댄:
비유하건데는. 비유할 것 같으면. 가비-[譬]+건대+ㄴ.
河一이 엇뎨 주003)
엇뎨:
어찌.
獸의 모도 주004)
모도:
모임을. 몯-[合]+옴+.
조리오 주005)
조리오:
좇으리오. 따르리오. 좇-[隨]+()리+오.
 엇뎨 오 河ㅣ 獸의 모돔 아닐 니리오  獸ㅣ 河의 혼 주006)
혼:
나눈. 호-[分]+ㄴ.
주007)
디:
것이. (의존명사)+이. ‘’ 탈락.
아니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세 짐승이 강을 건너감에 비유하여 말하면, 강 하나가 어찌 짐승의 모임을 좇겠는가? 또 어찌 홀로 강이 짐승의 모임이 아닐 뿐이겠는가? 또 짐승이 강의 나눈 것이 아니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三獸ㅣ 渡河호 同入於水면 三獸 有强弱고 河水 有底岸니 三獸 喩三乘시고 一河 喩一理시니 一이 非三合爲一이며 三이 非一分成三이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三獸ㅣ 河 긴나 주008)
긴나:
건너가되. ‘건나’의 오각. 건나-[渡]+. 동시대에 ‘건너-’도 쓰임.
 가지로 므레 들면 三獸는 强과 弱

선종영가집언해 권하:59ㄴ

이 잇고 河水는 믿과  잇니 三獸는 三乘 주009)
삼승(三乘):
성문승, 연각승, 보살승이라는 세 가지 실천 방법. 성문, 연각, 보살. 이것으로 불교수행자의 전체를 총괄함.
을 가비시고 一河는 一 理를 가비시니 一이 三이 모다 주010)
모다:
모이어. 몯-[合]+아.
외욘 주011)
외욘:
된. 외-[爲]+요/오+ㄴ.
디 아니며 三이 一이 호아 三 외욘 디 아니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세 짐승이 강을 건너되 한 가지로 물에 들어가면 세 짐승은 강한 것과 약한 것이 있고, 강물은 밑과 가가 있으니, 세 짐승은 삼승을 비유하고 하나의 강은 한 가지 이치를 비유한 것이니, 하나가 셋이 모이어 하나가 된 것이 아니며, 셋이 하나가 나누어져 셋이 된 것이 아니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삼수(三獸):세 짐승.
주002)
가비건댄:비유하건데는. 비유할 것 같으면. 가비-[譬]+건대+ㄴ.
주003)
엇뎨:어찌.
주004)
모도:모임을. 몯-[合]+옴+.
주005)
조리오:좇으리오. 따르리오. 좇-[隨]+()리+오.
주006)
혼:나눈. 호-[分]+ㄴ.
주007)
디:것이. (의존명사)+이. ‘’ 탈락.
주008)
긴나:건너가되. ‘건나’의 오각. 건나-[渡]+. 동시대에 ‘건너-’도 쓰임.
주009)
삼승(三乘):성문승, 연각승, 보살승이라는 세 가지 실천 방법. 성문, 연각, 보살. 이것으로 불교수행자의 전체를 총괄함.
주010)
모다:모이어. 몯-[合]+아.
주011)
외욘:된. 외-[爲]+요/오+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