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7 삼승점차(三乘漸次)
  • 제7 삼승점차 030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7 삼승점차 030


行施 則盡命傾財고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布施 주001)
보시(布施):
다른 사람에게 물질 등을 베풀어 주는 것. 육바라밀의 하나. 보시의 내용에 따라 여러 가지 분류가 있다. 재(財), 법(法), 2종 보시를 비롯하여, 3, 4, 5, 6, 8종 등으로 나뉜다. 그 중에서 재시(財施), 법시(法施), 무외시(無畏施) 등으로 나누는 3종 보시가 가장 대표적이다. 여러 가지 보시행들은 보살이라면 반드시 실행해야 하는 덕목이다. 보시할 때 중요한 점은 집착함이 없어야 하며, 청정한 것을 베풀어야 하며, 보시물에 기준을 두지 말고 베푸는 마음에 기준을 두어야 한다는 것 등이다. 단나(檀那), 단(檀), 다나(陀那), 시여(施與). 시(施).
行호 목수믈 다며 주002)
다며:
다하며. 다-[盡]+며. 중세국어에 ‘다-’, ‘다-’ 두 형태가 공존함. 다-〉다-〉다하-.
쳔 주003)
쳔:
재물.
기우리고 주004)
기우리고:
기울이고. 기울-[傾]+이(사동접미사)+고.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보시를 행함에 있어 목숨을 다하며 재물을 기울이고,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財命을 俱捨면 則無於身시니 如此히 行檀샤 修三堅法시니 賢劫經에 云샤 一切所有 皆能放捨시 是曰布施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財命을 다 리면 모 兼시니 이 티 주005)
단(檀):
보시(布施).
 行샤 세 구든 法 주006)
삼견법(三堅法):
세 굳은 법. 신(身), 명(命), 재(財) 3종의 견법(堅法). 도를 닦는 사람은 끝없는 몸과 무궁한 생명과 무진장한 재물을 얻을 수 있으며, 이것들은 세상이 불타버려도 없어지지 않으므로 삼견법이라 한다.
을 닷시니 賢劫經 주007)
현겁경(賢劫經):
〈현겁정의경(賢劫定意經)〉. 부처님이 희왕보살의 물음에 대하여 이천백의 여러 도무극 사상, 팔만사천의 모든 삼매문과 부처님의 신통공덕 및 현대의 겁에 출현할 천불의 이름과 태어날 국토, 부모, 제자, 수명, 법주 등 출현의 경위와 의미 등을 말하고 있음.
에 니샤 一切 뒷논 거슬 주008)
뒷논 것:
두어 있는 것. 존재하는 모든 것. 두-[置]+잇-[有]++오+ㄴ+것.
다 能히 릴씨 주009)
릴씨:
버리므로. 리-[捨]+ㄹㆆ++ㅣ. ‘-ㄹ〉-ㄹ씨’. ‘ㆍ’ 탈락.
이 닐오 布施라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재물과 목숨을 다 버리면 몸을 겸하시니, 이 같이 보시를 행하시어 세 가지 굳은 법을 닦으시니 〈현겁경〉에 이르시되, “모든 두어 있는 것을 다 능히 버리므로 이를 이르되 보시(布施)라 한다.”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보시(布施):다른 사람에게 물질 등을 베풀어 주는 것. 육바라밀의 하나. 보시의 내용에 따라 여러 가지 분류가 있다. 재(財), 법(法), 2종 보시를 비롯하여, 3, 4, 5, 6, 8종 등으로 나뉜다. 그 중에서 재시(財施), 법시(法施), 무외시(無畏施) 등으로 나누는 3종 보시가 가장 대표적이다. 여러 가지 보시행들은 보살이라면 반드시 실행해야 하는 덕목이다. 보시할 때 중요한 점은 집착함이 없어야 하며, 청정한 것을 베풀어야 하며, 보시물에 기준을 두지 말고 베푸는 마음에 기준을 두어야 한다는 것 등이다. 단나(檀那), 단(檀), 다나(陀那), 시여(施與). 시(施).
주002)
다며:다하며. 다-[盡]+며. 중세국어에 ‘다-’, ‘다-’ 두 형태가 공존함. 다-〉다-〉다하-.
주003)
쳔:재물.
주004)
기우리고:기울이고. 기울-[傾]+이(사동접미사)+고.
주005)
단(檀):보시(布施).
주006)
삼견법(三堅法):세 굳은 법. 신(身), 명(命), 재(財) 3종의 견법(堅法). 도를 닦는 사람은 끝없는 몸과 무궁한 생명과 무진장한 재물을 얻을 수 있으며, 이것들은 세상이 불타버려도 없어지지 않으므로 삼견법이라 한다.
주007)
현겁경(賢劫經):〈현겁정의경(賢劫定意經)〉. 부처님이 희왕보살의 물음에 대하여 이천백의 여러 도무극 사상, 팔만사천의 모든 삼매문과 부처님의 신통공덕 및 현대의 겁에 출현할 천불의 이름과 태어날 국토, 부모, 제자, 수명, 법주 등 출현의 경위와 의미 등을 말하고 있음.
주008)
뒷논 것:두어 있는 것. 존재하는 모든 것. 두-[置]+잇-[有]++오+ㄴ+것.
주009)
릴씨:버리므로. 리-[捨]+ㄹㆆ++ㅣ. ‘-ㄹ〉-ㄹ씨’. ‘ㆍ’ 탈락.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