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9 권우인서(勸友人書)
  • 제9 권우인서 013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9 권우인서 013


若非解契玄宗며 行符眞趣者ㅣ면 則未可幽居抱

선종영가집언해 권하:110ㄴ

拙야 自謂一生歟ㅣ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다가 아로미 玄宗 주001)
현종(玄宗):
현묘한 종지. 또는 불교를 달리 일컫는 말로 쓰임.
애 마며 行이 眞趣 주002)
진취(眞趣):
진실한 취. 취(趣)는 1) 내세로 향하는 것. 2) 중생이 번뇌에 의해 업을 만들어 그 혹업에 이끌리어 사는 곳. 3) 생활해 나가는 과정 등의 뜻이 있음. 여기서는 3)의 뜻으로 쓰임.
에 맛디 아니니면 주003)
아니니면:
아니한 사람이면. 아니-+ㄴ+이+면.
기피 사라 사오나오 주004)
사오나오:
사나움을, 악함을, 졸렬함을. 사오-[惡, 拙]+오+ㅁ+. ㅂ변칙활용.
가져 제 一生이라 너교미 주005)
너교미:
여김이. 너기-[謂]+오+ㅁ+이. 너기-〉녀기-〉여기-.
올티 몯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만약에 앎이 현묘한 종지에 맞으며, 수행이 진실한 삶의 이치에 맞지 아니한 사람이면 깊이 살아 졸렬함을 가져 스스로 ‘한 생애다’라고 여김이 옳지 못하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解ㅣ 以智와 冥코 行이 以理와 會야 妙絶諸累면 則可幽棲ㅣ어니와 脫未如然인댄 何益之有ㅣ리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아로미 智와 어울오 주006)
어울오:
어울리고. 어울-[會]+오/고. ㄹ 아래서 ㄱ 약화.
行이 理와 어우러 한  微妙히 그츠면 기피 사로미 올커니와 다가 그러티 몯홀띤댄 주007)
몯홀띤댄:
못할 것이면, 몯[不]+-+오+ㄹㆆ++ㅣ-+ㄴ대+ㄴ. ‘ㆍ’ 탈락.
므슴 주008)
므슴:
무슨.
益이 이시리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앎이 지혜와 어울리고 수행이 이치와 어울려 한 때 미묘하게 그치면 깊이 삶이 옳거니와 만약에 그렇지 못할 것 같으면 무슨 이익이 있겠는가?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현종(玄宗):현묘한 종지. 또는 불교를 달리 일컫는 말로 쓰임.
주002)
진취(眞趣):진실한 취. 취(趣)는 1) 내세로 향하는 것. 2) 중생이 번뇌에 의해 업을 만들어 그 혹업에 이끌리어 사는 곳. 3) 생활해 나가는 과정 등의 뜻이 있음. 여기서는 3)의 뜻으로 쓰임.
주003)
아니니면:아니한 사람이면. 아니-+ㄴ+이+면.
주004)
사오나오:사나움을, 악함을, 졸렬함을. 사오-[惡, 拙]+오+ㅁ+. ㅂ변칙활용.
주005)
너교미:여김이. 너기-[謂]+오+ㅁ+이. 너기-〉녀기-〉여기-.
주006)
어울오:어울리고. 어울-[會]+오/고. ㄹ 아래서 ㄱ 약화.
주007)
몯홀띤댄:못할 것이면, 몯[不]+-+오+ㄹㆆ++ㅣ-+ㄴ대+ㄴ. ‘ㆍ’ 탈락.
주008)
므슴:무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