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9 권우인서(勸友人書)
  • 제9 권우인서 003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9 권우인서 003


名花香果 蜂鳥ㅣ 㗸將며 猿嘯長吟을 遠近이 皆聽이어든 鋤頭로 當枕고 細草로 爲氈노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名花 주001)
명화(名花):
유명한 꽃.
香果 주002)
향과(香果):
향기로운 과일.
벌와 주003)
벌와:
벌과. ㄹ 아래에서 ㄱ약화.
새왜 주004)
새왜:
새가. 새[鳥]+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 중세국어에서 접속조사 와/과는 마지막 어휘에도 붙였음.
므러 주005)
므러:
물어. 믈-[啣]〉물-. 원순모음화.
오며 나 주006)
나:
원숭이의. 납[猿]+(관형격조사). 납〉잔나비.
람 주007)
람:
휘파람. 휘파람소리. 여기서는 원숭이의 울음소리를 말함.
기리 주008)
기리:
길이. 길게. 길-[長]+이(부사화접미사).
이푸믈 주009)
이푸믈:
아픔을. 아프-[吟]+우+ㅁ+을. ‘ㆍ’ 탈락. ‘이푸믈’은 ‘아푸믈’의 오각인 듯함.
遠近이 다 듣거든 호 머리로 벼

선종영가집언해 권하:106ㄴ

개 삼고 細草로 시욱 주010)
시욱:
전방석[氈].
삼노니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유명한 꽃과 향기로운 과일을 벌과 새가 물어 오며, 원숭이의 휘파람소리가 길이 아픔을 원근이 다 듣거든 호미의 머리로 베개를 삼고 가는 풀로 전방석을 삼노니.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物態ㅣ 殊常며 進修ㅣ 異俗이로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物의  주011)
:
모습이. [樣]+ㅣ(주격조사).
녜 다며 나 주012)
나:
나아가. -[進]+아.
닷고미 주013)
닷고미:
닦음이. -[修]+오+ㅁ+이.
俗애 주014)
속(俗)애:
세속과. 俗+애(비교부사격조사).
다도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사물의 모습이 늘 다르며 나아가 닦음이 속세와 다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명화(名花):유명한 꽃.
주002)
향과(香果):향기로운 과일.
주003)
벌와:벌과. ㄹ 아래에서 ㄱ약화.
주004)
새왜:새가. 새[鳥]+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 중세국어에서 접속조사 와/과는 마지막 어휘에도 붙였음.
주005)
므러:물어. 믈-[啣]〉물-. 원순모음화.
주006)
나:원숭이의. 납[猿]+(관형격조사). 납〉잔나비.
주007)
람:휘파람. 휘파람소리. 여기서는 원숭이의 울음소리를 말함.
주008)
기리:길이. 길게. 길-[長]+이(부사화접미사).
주009)
이푸믈:아픔을. 아프-[吟]+우+ㅁ+을. ‘ㆍ’ 탈락. ‘이푸믈’은 ‘아푸믈’의 오각인 듯함.
주010)
시욱:전방석[氈].
주011)
:모습이. [樣]+ㅣ(주격조사).
주012)
나:나아가. -[進]+아.
주013)
닷고미:닦음이. -[修]+오+ㅁ+이.
주014)
속(俗)애:세속과. 俗+애(비교부사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