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7 삼승점차(三乘漸次)
  • 제7 삼승점차 052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7 삼승점차 052


獸之非一에 明其足 有短長고 河之不三애 知其水의 無深淺이로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獸ㅣ 一 아뇨매 주001)
아뇨매:
아님이. 아니-[非]+오+ㅁ+애(원인부사격조사).
바 주002)
바:
발에. 발[足]+.
뎌르며 주003)
뎌르며:
짧으며. 뎌르-[短]+며. 뎌르-〉댜-〉짧-.
기룸 주004)
기룸:
긺. 길-[長]+우+ㅁ.
이슈미 주005)
이슈미:
있음이. 이시-[有]+우+ㅁ+이.
고 河ㅣ 三 아뇨매 그 므릐 주006)
므릐:
물의. 믈[水]+의. 믈〉물. 원순모음화.
기프며 녀톰 주007)
녀톰:
얕음. 녙-[淺]+오+ㅁ. 모음조화 파괴.
업수믈 주008)
업수믈:
없음을. 없-[無]+우+ㅁ+을.
알리로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짐승이 하나가 아니므로 그 발의 짧고 긺이 있음이 분명하고, 강이 셋이 아니므로 그 물의 깊으며 얕음이 없음을 알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

선종영가집언해 권하:61ㄱ

二乘은 智淺야 不能深求호미 喩如兎馬코 菩薩은 智深샤 喩如大象시니 約機하야 如此ㅣ언 理 何言哉리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二乘 주009)
이승(二乘):
성문승과 연각승.
은 智 녀터 주010)
녀터:
얕아서. 녙-[淺]+어.
能히 기피 求티 몯호미 주011)
몯호미:
못함이. 몯[不]+-+오+ㅁ+이.
가비건댄 톳기 주012)
톳기:
토끼[兎].
리 주013)
리:
말과. [馬]+이(비교부사격조사).
고 菩薩 智 기프샤 가비건댄 큰 象이 주014)
상(象)이:
코끼리와. 상(象)+이(비교부사격조사).
시니 機 자바 이 건 주015)
건:
같을지언정. -[如]+거+ㄴ뎡. ‘--’ 생략.
理 엇뎨 니리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승은 지혜가 얕아서 능히 깊이 구하지 못하는 것이 비유하건대 토끼나 말과 같고, 보살은 지혜가 깊으시어 비유하건대 큰 코끼리와 같으시니 근기〈의 차이〉를 잡아 이 같을지언정(같다는 것이지), 이치는 어찌 〈그 차이를〉 말할 것인가?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뇨매:아님이. 아니-[非]+오+ㅁ+애(원인부사격조사).
주002)
바:발에. 발[足]+.
주003)
뎌르며:짧으며. 뎌르-[短]+며. 뎌르-〉댜-〉짧-.
주004)
기룸:긺. 길-[長]+우+ㅁ.
주005)
이슈미:있음이. 이시-[有]+우+ㅁ+이.
주006)
므릐:물의. 믈[水]+의. 믈〉물. 원순모음화.
주007)
녀톰:얕음. 녙-[淺]+오+ㅁ. 모음조화 파괴.
주008)
업수믈:없음을. 없-[無]+우+ㅁ+을.
주009)
이승(二乘):성문승과 연각승.
주010)
녀터:얕아서. 녙-[淺]+어.
주011)
몯호미:못함이. 몯[不]+-+오+ㅁ+이.
주012)
톳기:토끼[兎].
주013)
리:말과. [馬]+이(비교부사격조사).
주014)
상(象)이:코끼리와. 상(象)+이(비교부사격조사).
주015)
건:같을지언정. -[如]+거+ㄴ뎡. ‘--’ 생략.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