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7 삼승점차(三乘漸次)
  • 제7 삼승점차 063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7 삼승점차 063


然이나 三乘이 雖殊나 同歸出苦之要ㅣ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그러나 三乘이 비록 다나 苦애 주001)
:
벗어날. 나-[出]+ㄹㆆ(관형형어미).
宗要 주002)
종요(宗要):
매우 중요함. 매우 중요한 것.
애  가지로 가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그러나 3승이 비록 다르나 고(苦)에서 벗어날 종요에 한 가지로
(=함께)
돌아간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同出三界火宅야 共破九地無明니 論觀에 雖有晦明나 脫苦 且無優劣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 가지로 三界 火宅 주003)
화택(火宅):
불난 집. 고뇌가 가득한 이 세계를 뜻함.
애 나 다 九地 주004)
구지(九地):
삼계(三界)를 아홉 종류로 나눈 것. 욕계5취지(欲界五趣地),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 공무변처지(空無邊處地), 식무변처지(識無邊處地), 무소유처지(無所有處地),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
無明 破니 【三界 九地예 호아 欲

선종영가집언해 권하:66ㄴ

界 뫼화 주005)
뫼화:
모아서. 뫼호-[集]+아.
 地오 四禪 주006)
사선(四禪):
고요함 속에도 지혜가 있어서 자세하게 생각할 수 있는 선정으로, 초선정(初禪定), 2선정(二禪定), 3선정(三禪定), 4선정(四禪定) 등이 있는데, 여기서는 색계의 사지(四地) 즉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를 말함.
四定 주007)
사정(四定):
유식종에서 가행위(加行位)의 네 가지 선근(善根)을 닦아 얻을 수 있는 명득정(明得定), 명증정(明增定), 인순정(印順定), 무간정(無間定)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무색계의 4지(四地) 즉 공무변처지(空無邊處地), 식무변처지(識無邊處地), 무소유처지(無所有處地),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를 말함.
괘 여들비니 모다 九地라 欲界 주008)
욕계(欲界):
3계의 하나. 식욕(食慾), 수면욕(睡眠欲), 음욕(淫欲).
一地 中에 九品 주009)
구품(九品):
아홉 품계. 아홉 종류.
貪嗔癡慢 주010)
탐진치만(貪嗔癡慢):
탐욕, 성냄, 어리석음, 교만함.
이 잇고 上 八地예 各各 九品이 이쇼 주011)
이쇼:
있으되. 이시-[有]+오+.
嗔을 더니라 주012)
더니라:
던다. 덜-[捨]+니+라. ㄹ탈락.
觀 닐오매 비록 어드우며 고미 이시나 苦 버수믄 주013)
버수믄:
벗음은. 벗-[脫]+우+ㅁ+은.
 優劣 업스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한 가지로
(=똑같이)
3계 화택에서 벗어나서 다 9지의 무명을 깨뜨리니,【3계를 9지에 나누었는데, 욕계를 모아서 한 지(地)이고, 4선과 4정이 여듧이니 모두 9지다. 욕계 1지(一地) 중에 아홉 종류의 탐욕[貪]과 성냄[嗔]과 어리석음[癡]과 교만함[慢]이 있고, 상8지(上八地)에 각각 아홉 종류가 있으되 성냄[嗔]을 던다.】 관조를 말함에 비록 어두우며 밝음이 있으나 고(苦)를 벗음은 또한 우열이 없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벗어날. 나-[出]+ㄹㆆ(관형형어미).
주002)
종요(宗要):매우 중요함. 매우 중요한 것.
주003)
화택(火宅):불난 집. 고뇌가 가득한 이 세계를 뜻함.
주004)
구지(九地):삼계(三界)를 아홉 종류로 나눈 것. 욕계5취지(欲界五趣地),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 공무변처지(空無邊處地), 식무변처지(識無邊處地), 무소유처지(無所有處地),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
주005)
뫼화:모아서. 뫼호-[集]+아.
주006)
사선(四禪):고요함 속에도 지혜가 있어서 자세하게 생각할 수 있는 선정으로, 초선정(初禪定), 2선정(二禪定), 3선정(三禪定), 4선정(四禪定) 등이 있는데, 여기서는 색계의 사지(四地) 즉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를 말함.
주007)
사정(四定):유식종에서 가행위(加行位)의 네 가지 선근(善根)을 닦아 얻을 수 있는 명득정(明得定), 명증정(明增定), 인순정(印順定), 무간정(無間定)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무색계의 4지(四地) 즉 공무변처지(空無邊處地), 식무변처지(識無邊處地), 무소유처지(無所有處地),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를 말함.
주008)
욕계(欲界):3계의 하나. 식욕(食慾), 수면욕(睡眠欲), 음욕(淫欲).
주009)
구품(九品):아홉 품계. 아홉 종류.
주010)
탐진치만(貪嗔癡慢):탐욕, 성냄, 어리석음, 교만함.
주011)
이쇼:있으되. 이시-[有]+오+.
주012)
더니라:던다. 덜-[捨]+니+라. ㄹ탈락.
주013)
버수믄:벗음은. 벗-[脫]+우+ㅁ+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