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8 사리불이(事理不二)
  • 제8 사리불이 010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8 사리불이 010


然而妙旨ㅣ 絶言나 假文言以詮旨며 眞宗이 非相이나 假名相以標宗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그러나 妙旨ㅣ 言이 그츠니 주001)
그츠니:
끈어지니. 긏-[絶]+(으)니.
文言을 브터 주002)
브터:
빌어. 의지하여. 븥-[假]+어.
旨를 니며 眞宗이 相이 아니나 名相 브터 宗 標니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그러나 묘지(妙智)가 말이 끊어지니 글과 말을 빌어 〈그〉 뜻을 말하고 참된 종지가 상이 아니나 이름과 모양을 빌어 종지를 표방하니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理本不적藉言詮나 由言詮而顯旨며 智源不須法相나 賴法相以明宗니 十地論에 云샤 何故로 不但說無言示現고 依言야 求解故ㅣ라

선종영가집언해 권하:87ㄱ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理ㅣ 本來 言詮에 븓디 주003)
븓디:
붙지. 따르지. 근거하지. 븓-[附]+디.
아니나 言詮을 브터 旨를 나토며 智ㅣ 根源에 法相 주004)
법상(法相):
모든 법의 모양. 만유의 자태.
기드리디 주005)
기드리디:
기다리지. 기드리-[須]+디.
아니나 法相 브터 宗 明니 十地論 주006)
십지론(十地論):
〈십지경론〉이라고도 함. 전 12권. 인도의 세친보살이 〈화엄경〉 10지품을 번역한 〈십지경〉을 다시 해석한 것. 508년 보리유지와 륵나마제가 범본을 가져다 각각 번역함. 현전하는 것은 후대에 혜광(慧光)이 양본을 대조하여 1본으로 만든 것.
애 니샤 엇던 젼로 오직 無言을 닐어 나토아 뵈디 아니뇨 말 브터 아로 求논 젼라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진리는 본래 말씀에 붙지
(=따르지)
아니하나 말씀을 의지하여 그 뜻을 나타내며, 지혜가 근원에 법상을 기다리지
(=따르지)
아니하나 법상을 의지하여 종지를 밝히니, 〈십지론〉에 이르시되, “어떤 까닭으로 오직 무언(無言)을 말하여 나타내어 보이지 아니하는가? 말씀을 의지하여 앎을 구하는 까닭이다.”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츠니:끈어지니. 긏-[絶]+(으)니.
주002)
브터:빌어. 의지하여. 븥-[假]+어.
주003)
븓디:붙지. 따르지. 근거하지. 븓-[附]+디.
주004)
법상(法相):모든 법의 모양. 만유의 자태.
주005)
기드리디:기다리지. 기드리-[須]+디.
주006)
십지론(十地論):〈십지경론〉이라고도 함. 전 12권. 인도의 세친보살이 〈화엄경〉 10지품을 번역한 〈십지경〉을 다시 해석한 것. 508년 보리유지와 륵나마제가 범본을 가져다 각각 번역함. 현전하는 것은 후대에 혜광(慧光)이 양본을 대조하여 1본으로 만든 것.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