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7 삼승점차(三乘漸次)
  • 제7 삼승점차 045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7 삼승점차 045


非一이면 一이 非라 三이 不留고 非三이면 三이 非라 一이 不立니 不立之一이 本無三이며 不留之三이

선종영가집언해 권하:57ㄴ

本無一이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一이 아니면 一이 아니라 三이 잇디 주001)
잇디:
있지. 이시-[有]+디. 자음어미 앞에서 ‘이시-→잇-’.
아니코 주002)
아니코:
아니하고. 아니[不]+-+고. ‘ㆍ’ 탈락. 음운 축약.
三이 아니면 三이 아니라 一이 셔디 아니니 셔디 아니 一이 本來 三이 업스며 잇디 아니 三이 本來 一이 업스니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하나가 아니면 하나가 아니므로 셋이 있지 아니하고, 셋이 아니면 셋이 아니므로 하나가 서지
(=성립되지)
아니하니, 서지
(=성립되지)
아니한 하나는 원래부터 셋이 없으며 있지 아니한 셋이
(=은)
원래부터 하나가
(=도)
없으니
(=없는 것이니)
.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世雄이 說敎샤 逗彼機緣샤 立三一之殊名시며 分大小之假號시니 機緣이 若息면 三一이 亦忘리니 是以로 形奪이 互傾며 三一이 交脫야 一本不有ㅣ라 三亦無之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世雄 주003)
세웅(世雄):
부처님의 다른 이름. 부처님은 일체 세간에서 무엇이라도 굴복시킬 만한 웅건한 덕이 있으므로 이렇게 부름.
이 敎 펴샤 뎌 機緣 주004)
기연(機緣):
근성과 인연.
마초샤 주005)
마쵸샤:
맞추시어. 마치-[射]+오+시+아.
三一 다 일후믈 주006)
일후믈:
이름을. 일훔[名, 號]+을.
셰시며 주007)
셰시며:
세우시며. 셔-[立]+이(사동접미사)+시+며.
大小 거즛 주008)
거즛:
거짓[假]. 거즛〉거짓. 구개모음화(전설모음화).
일후믈 分시니

선종영가집언해 권하:58ㄱ

機緣이 다가 그츠면 주009)
그츠면:
그치면. 끊어지면. 그츠-[止]+면.
三一이  니즈리니 이런로 形과 奪이 서르 기울며 三과 一이 서르 버서 一이 本來 잇디 아니혼디라 주010)
아니혼디라:
아니한 것이므로. 아니[不]+-+오+ㄴ++ㅣ-+라.
三이  업스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부처님이 가르침을 펴시되 저 〈중생들의〉 근성과 인연에 맞추시어 셋과 하나의
(=라는)
다른 이름을 세우시며, 크고 작은 거짓 이름을
(=으로)
나누시니, 기연(機緣)이 만약에 끊어지면 셋과 하나가 또 잊혀지리니
(=사라질 것이니)
이러므로 형체의 있음과 없음도 서로 기울며
(=사라지며)
셋과 하나가 서로
(=에게서부터)
벗어나서 하나가
(라는 것이)
본래부터 있지 아니한 것이기 때문에 셋도 또한 없는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잇디:있지. 이시-[有]+디. 자음어미 앞에서 ‘이시-→잇-’.
주002)
아니코:아니하고. 아니[不]+-+고. ‘ㆍ’ 탈락. 음운 축약.
주003)
세웅(世雄):부처님의 다른 이름. 부처님은 일체 세간에서 무엇이라도 굴복시킬 만한 웅건한 덕이 있으므로 이렇게 부름.
주004)
기연(機緣):근성과 인연.
주005)
마쵸샤:맞추시어. 마치-[射]+오+시+아.
주006)
일후믈:이름을. 일훔[名, 號]+을.
주007)
셰시며:세우시며. 셔-[立]+이(사동접미사)+시+며.
주008)
거즛:거짓[假]. 거즛〉거짓. 구개모음화(전설모음화).
주009)
그츠면:그치면. 끊어지면. 그츠-[止]+면.
주010)
아니혼디라:아니한 것이므로. 아니[不]+-+오+ㄴ++ㅣ-+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