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6 우필차송(優畢叉頌)
  • 제6 우필차송 041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6 우필차송 041


身이 與空不空과 相應면 則內同枯木고 外現威儀리며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모미 空不空과 相應면 안 이운 주001)
이운:
시든. 마른. 이울-[枯]+ㄴ. ㄹ탈락. 이-〉이울-.
나모 고 밧 威儀 나토리며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몸이 공 불공과 상응하면 안은 시든 나무와 같고 바깥은 위의가 나타날 것이며,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

선종영가집언해 권하:19ㄴ

內冥一滅고 外順四儀니 寶積에 云샤 以無心意로 而現行이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안 一滅 주002)
일멸(一滅):
사제(四諦) 가운데 멸제(滅諦)를 말함.
에 어울오 밧 四儀 주003)
사의(四儀):
사위의(四威儀). (1)인간의 행동을 네 종류로 분리한 것. 가는 것, 머무는 것, 앉는 것, 눕는 것. (2)행(行), 주(住), 좌(坐), 와(臥)에서 마음이 바르고 훌륭하게 행동하는 것.
예 順니 寶積에 니샤 心意 주004)
심의(心意):
(1)마음, (2)마음에 생각하는 것, (3)심적인 감수 작용.
업수로 주005)
행(行):
(1)행하는 것, (2)수행(修行).
 나토니라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안은 일멸에 어울리고, 밖은 사의에 따르니, 보적경 주006)
보적경(寶積經):
불교경전의 하나. ‘법보의 누적’이라는 뜻을 가진 경전으로 보통 원명을 따라 〈대보적경〉이라 한다. 전 120권. 당나라 때 보리류지가 왕명으로 번역.
에 이르시되 “심의가 없으므로 행을 나타낸다.”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운:시든. 마른. 이울-[枯]+ㄴ. ㄹ탈락. 이-〉이울-.
주002)
일멸(一滅):사제(四諦) 가운데 멸제(滅諦)를 말함.
주003)
사의(四儀):사위의(四威儀). (1)인간의 행동을 네 종류로 분리한 것. 가는 것, 머무는 것, 앉는 것, 눕는 것. (2)행(行), 주(住), 좌(坐), 와(臥)에서 마음이 바르고 훌륭하게 행동하는 것.
주004)
심의(心意):(1)마음, (2)마음에 생각하는 것, (3)심적인 감수 작용.
주005)
행(行):(1)행하는 것, (2)수행(修行).
주006)
보적경(寶積經):불교경전의 하나. ‘법보의 누적’이라는 뜻을 가진 경전으로 보통 원명을 따라 〈대보적경〉이라 한다. 전 120권. 당나라 때 보리류지가 왕명으로 번역.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