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6 우필차송(優畢叉頌)
  • 제6 우필차송 077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6 우필차송 077


宗旨 一而二名이니 言觀은 明其弄引耳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주001)
종(宗):
(1)경(經)이나 논(論) 따위의 교설 가운데 중심이 되는 교의. (2)존중하는 교의를 함께하는 교단. (3)인명(因明)에서 입론자가 처음 내세우는 주장이나 단안.
주002)
지(旨):
중심 되는 뜻. 요지(要旨).
나히로 주003)
나히로:
하나이로되. 하나이되. 나ㅎ[一]+이-+로/오+. 서술격 ‘ㅣ’ 아래서 ‘오→로’ 교체.
두 일후미니 言과 觀 弄引을 길 미라【弄引은 풍류엣 調弦이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종(宗)과 지(旨)는 하나로되 두 이름이니 말과 관(觀)은 농인(弄引)임을 밝혔을 따름이다.【농인(弄引)은 풍류에 현을 조율하는 것[調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宗旨 體一而立二名니 如鏡與光이 亦彰二號 니라 因言야 達理고 籍觀야 契宗니 理智ㅣ 旣其齋明면 言觀은 卽爲方便이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宗旨 體 나히로 두 일후미 주004)
일후미:
이름이. 일훔[名]+이.
셔니 거우루 주005)
거우루:
거울. 거우루〉거울. 끝모음 탈락. 이 형태변화에 ‘주머귀〉주먹. 드르〉들ㅎ〉들. 고마〉곰’ 등이 있음.
와 光이  두 일훔 낟 주006)
낟:
나타나듯. 드러나듯. 낱-[彰]+. 낱-〉낟-. 8종성표기.
니라 말 因야 理

선종영가집언해 권하:33ㄴ

 알오 觀 브터 宗애 맛니 理智 마 기 주007)
기:
가지런히. -[齋]+이(부사화접미사).
면 言觀 곧 方便이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종(宗)과 지(旨)는 〈그〉 체(體)가 하나로되 두 가지 이름이 서니 거울과 빛[光]이 또 두 가지 이름을 나타내듯 한다. 말로 인하여 이치를 알고 관(觀)을
(=으로)
말미암아 종(宗)에 맞으니 이치와 지혜가 이미 가지런히 밝으면 말과 관(觀)은 곧 방편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종(宗):(1)경(經)이나 논(論) 따위의 교설 가운데 중심이 되는 교의. (2)존중하는 교의를 함께하는 교단. (3)인명(因明)에서 입론자가 처음 내세우는 주장이나 단안.
주002)
지(旨):중심 되는 뜻. 요지(要旨).
주003)
나히로:하나이로되. 하나이되. 나ㅎ[一]+이-+로/오+. 서술격 ‘ㅣ’ 아래서 ‘오→로’ 교체.
주004)
일후미:이름이. 일훔[名]+이.
주005)
거우루:거울. 거우루〉거울. 끝모음 탈락. 이 형태변화에 ‘주머귀〉주먹. 드르〉들ㅎ〉들. 고마〉곰’ 등이 있음.
주006)
낟:나타나듯. 드러나듯. 낱-[彰]+. 낱-〉낟-. 8종성표기.
주007)
기:가지런히. -[齋]+이(부사화접미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