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7 삼승점차(三乘漸次)
  • 제7 삼승점차 065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7 삼승점차 065


三明이 照耀開朗야 八萬之劫이 現前며 六通을 縱任無爲야 山壁에 遊之直度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三明 주001)
삼명(三明):
아라한의 지혜에 갖추어 있는 묘한 작용으로서, 지혜가 분명히 대경(對境)을 아는 것을 명(明)이라 하는데, 숙명명(宿命明: 자기와 남의 과거세의 일을 아는 것), 천안명(天眼明: 자기와 남의 미래세의 일을 아는 것), 누진명(漏盡明: 지금 세상의 고통을 알아 번뇌를 끊는 지혜) 등이 있음.
비취여 주002)
비취여:
비치어. 비취-[照]+여/어.
가 八萬劫 주003)
팔만겁(八萬劫):
8만은 무한히 많은 양을 뜻하므로 8만겁은 거의 무한한 시간을 말함.
알 주004)
알:
앞에. 앒[前]+. 앒〉앞. ㅍ 앞에서 ㄹ 탈락.
나며 주005)
나며:
나타나며. 낱-[顯]+()며.
六通 주006)
육통(六通):
여섯 가지 신통력으로 6신통(六神通)이라고도 함. 천안통(天眼通: 육안으로 볼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는 신통력), 천이통(天耳通: 보통 귀로는 들을 수 없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신통력), 타심통(他心通: 다른 사람의 생각을 알 수 있는 신통력), 숙명통(宿命通: 과거를 알 수 있는 신통력), 신족통(神足通: 어디든지 자유로이 나타날 수 있는 신통력), 누진통(漏盡通: 자연스럽게 번뇌를 끊어버릴 수 있는 신통력)이 있음.
  호 주007)
호:
행(行)하되. -[爲]+오+. ‘ㆍ’ 탈락.
욤 주008)
욤:
행함. -[行]+요/오+ㅁ.
업서 山壁 주009)
산벽(山壁):
산간벽지(山間壁地). 깊은 산속.
노뇨 주010)
노뇨:
노닐되. 노닐-[遊]+오+. ㄹ 탈락.
바 주011)
바:
바로. 곧장.
건너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삼명(三明)이 비치어 밝아서 8만 겁이 앞에 나타나며 6통을 매우 잘 행하되 행함이 없어 산간벽지에서 노닐되 바로 건넌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三明者 過現未來明也ㅣ니 能觀八萬劫事호 指掌 分明시라 六通者 天眼과 天耳와 他

선종영가집언해 권하:67ㄴ

心과 宿命과 漏盡과 身如意왜니 此六이 悉皆無擁 故로 云直度ㅣ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三明은 過去와 現在와 未來왓 明이니 能히 八萬劫 이 보 바 주012)
바:
손바닥. 손[手]+바[掌].
치 주013)
치:
가리키듯. 치-[指, 敎]+. 중세국어에서는 [敎], [指] 두 의미로 통용됨.
分明씨라 六通 天眼과 天耳와 他心과 宿命과 漏盡과 身如意 주014)
신여의(身如意):
신족통(神足通)과 같은 말.
왜니 이 여스시 다 룜 주015)
룜:
가림. 리-[蔽, 擁]+오+ㅁ.
업슬 니샤 바 건나미라 주016)
건나미라:
건넘이다. 건나-[渡]+ㅁ+이-+라. 중세국어에서 ‘건나-[渡]’와 ‘건너-[渡]’가 동시에 쓰임. 걷너-〉건너-. 비자음화.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3명(三明)은 과거와 현재와 미래에 대해 밝음이니 능히 8만 겁의 일을 보되 손바닥 가리키듯 분명한 것이다. 6통은 천안통과 천이통과 타심통과 숙명통과 누진통과 신족통[身如意]이니, 이 여섯이 다 가림이 없으므로 이르시되 ‘바로 건넘’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삼명(三明):아라한의 지혜에 갖추어 있는 묘한 작용으로서, 지혜가 분명히 대경(對境)을 아는 것을 명(明)이라 하는데, 숙명명(宿命明: 자기와 남의 과거세의 일을 아는 것), 천안명(天眼明: 자기와 남의 미래세의 일을 아는 것), 누진명(漏盡明: 지금 세상의 고통을 알아 번뇌를 끊는 지혜) 등이 있음.
주002)
비취여:비치어. 비취-[照]+여/어.
주003)
팔만겁(八萬劫):8만은 무한히 많은 양을 뜻하므로 8만겁은 거의 무한한 시간을 말함.
주004)
알:앞에. 앒[前]+. 앒〉앞. ㅍ 앞에서 ㄹ 탈락.
주005)
나며:나타나며. 낱-[顯]+()며.
주006)
육통(六通):여섯 가지 신통력으로 6신통(六神通)이라고도 함. 천안통(天眼通: 육안으로 볼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는 신통력), 천이통(天耳通: 보통 귀로는 들을 수 없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신통력), 타심통(他心通: 다른 사람의 생각을 알 수 있는 신통력), 숙명통(宿命通: 과거를 알 수 있는 신통력), 신족통(神足通: 어디든지 자유로이 나타날 수 있는 신통력), 누진통(漏盡通: 자연스럽게 번뇌를 끊어버릴 수 있는 신통력)이 있음.
주007)
호:행(行)하되. -[爲]+오+. ‘ㆍ’ 탈락.
주008)
욤:행함. -[行]+요/오+ㅁ.
주009)
산벽(山壁):산간벽지(山間壁地). 깊은 산속.
주010)
노뇨:노닐되. 노닐-[遊]+오+. ㄹ 탈락.
주011)
바:바로. 곧장.
주012)
바:손바닥. 손[手]+바[掌].
주013)
치:가리키듯. 치-[指, 敎]+. 중세국어에서는 [敎], [指] 두 의미로 통용됨.
주014)
신여의(身如意):신족통(神足通)과 같은 말.
주015)
룜:가림. 리-[蔽, 擁]+오+ㅁ.
주016)
건나미라:건넘이다. 건나-[渡]+ㅁ+이-+라. 중세국어에서 ‘건나-[渡]’와 ‘건너-[渡]’가 동시에 쓰임. 걷너-〉건너-. 비자음화.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