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6 우필차송(優畢叉頌)
  • 제6 우필차송 048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6 우필차송 048


脩心홀뎬 必須入觀이니 非觀이면 無以明心이니 心이 尙未明면 相應이 何日이리오 思之야 勿自恃也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 닷골 뗸 모로매 주001)
관(觀):
부정지법(不定地法) 중의 하나. 구역(舊譯) 용어. 세밀하게 분별하는 마음. 사(伺). 각(覺), 심(尋). 외경(外境)을 관찰하고 자신의 본성을 투철하게 반성하는 것. 비파사나(毘婆舍那), 비발사나(毘鉢舍那).
애 드로리니 觀 아니면  기디 몯리니 미  주002)
:
오히려.
디 몯면 相應이 어느 주003)
어느:
어찌. 중세국어에서 ‘어느/어’는 대명사, 관형사. 부사 등으로 쓰임. 여기서는 의문부사로 쓰임.
나리리오 야 주004)
랑야:
생각하여. 상량하여. -[思]+야. 중세국어에서 ‘思’와 ‘愛’의 뜻으로 쓰였는데, 여기서는 ‘思’의 뜻으로 쓰임.
제 믿디 말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마음을 닦을 때는 모름지기 관(觀)에 들 것이니 관이 아니면 마음을 밝히지 못할 것이니 마음이 오히려 밝지 못하면 상응이 어찌 나겠는가? 생각하여 스스로를 믿지 말라.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問호 此文이 與前文과 何異오 答호 前엔 論起

선종영가집언해 권하:23ㄱ

見면 卽招僭聖之愆시고 此앤 誡踈慵면 必墮偏聞之失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무루 주005)
무루:
질문하되. 묻되. 묻-[問]+우+. ㄷ변칙활용.
此文이 前文과 어듸 주006)
어듸:
어디가. 어듸[何處]+Ø/이(영형태주격조사).
다뇨 對答호 前엔 주007)
견(見):
눈으로써 외계의 사물을 보는 것. 심소(心所)의 작용 중 하나. 시비 득실을 헤아려 생각하고 분별하는 것.
니와면 주008)
니와면:
일으키면. 니왇-[起]+()면.
聖 僭 허믈 블로 주009)
블로:
부름을. 브르-[招]+오+ㅁ+. 르변칙활용.
論시고 이 게으르면 반기 드롬 주010)
드롬:
들음. 듣-[聞]+오+ㅁ. ㄷ변칙활용.
偏 허므레 듀믈 주011)
듀믈:
떨어짐을. 디-[落]+우+ㅁ+을.
警戒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묻되, “이 글이 앞 글과 어떻게 다른가?” 대답하되, “앞에는 견을 일으키면 성인을 범하는 허물을 부름을 논하시고 여기에는 게으르면 반드시 듣기 편한 허물에 떨어짐을 경계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관(觀):부정지법(不定地法) 중의 하나. 구역(舊譯) 용어. 세밀하게 분별하는 마음. 사(伺). 각(覺), 심(尋). 외경(外境)을 관찰하고 자신의 본성을 투철하게 반성하는 것. 비파사나(毘婆舍那), 비발사나(毘鉢舍那).
주002)
:오히려.
주003)
어느:어찌. 중세국어에서 ‘어느/어’는 대명사, 관형사. 부사 등으로 쓰임. 여기서는 의문부사로 쓰임.
주004)
랑야:생각하여. 상량하여. -[思]+야. 중세국어에서 ‘思’와 ‘愛’의 뜻으로 쓰였는데, 여기서는 ‘思’의 뜻으로 쓰임.
주005)
무루:질문하되. 묻되. 묻-[問]+우+. ㄷ변칙활용.
주006)
어듸:어디가. 어듸[何處]+Ø/이(영형태주격조사).
주007)
견(見):눈으로써 외계의 사물을 보는 것. 심소(心所)의 작용 중 하나. 시비 득실을 헤아려 생각하고 분별하는 것.
주008)
니와면:일으키면. 니왇-[起]+()면.
주009)
블로:부름을. 브르-[招]+오+ㅁ+. 르변칙활용.
주010)
드롬:들음. 듣-[聞]+오+ㅁ. ㄷ변칙활용.
주011)
듀믈:떨어짐을. 디-[落]+우+ㅁ+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