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7 삼승점차(三乘漸次)
  • 제7 삼승점차 033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7 삼승점차 033


精進은 則勤求至道호 如救頭燃야 自行과 化他와 刹那之頃도 無間고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精進은 至道 주001)
지도(至道):
지극한 도.
브즈러니 주002)
브즈러니:
부지런히. 브즈런-[勤]+이(부사화접미사). ‘’가 생략됨. 부즈런-〉부지런하-. 구개모음화.
求호 머리옛 블 주003)
머리옛 블:
머리에 붙은 불. 머리[頭]+예/에+ㅅ+블[火]. 블〉불. 원순모음화.
救야 주004)
구(救)야:
구하듯 하여. (불을)끄듯 하여. 구 야〉구 야. ‘’ 생략, 음운 축약.
주005)
내:
자신, 스스로.
行홈과  化홈과 刹那 주006)
찰라(刹那):
매우 짧은 시간.
 주007)
:
사이. 중세국어에서 두 사람 사이에는 ‘’가 쓰이고, 세 사람 이상의 사이에는 ‘서리’가 쓰임.
그춤 주008)
그춤:
그침. 끊어짐. 그츠-[止]+우+ㅁ.
업고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정진은 지극한 도를 부지런히 구하되 머리에 〈붙은〉 불을 끄듯 하여 스스로 행함과 남 교화함을 잠깐 사이도 그침이 없고,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精은 謂無雜시고 進은 謂不怠시니 志求證道샤 二利 兼行이니 經에 云샤 讀誦經典호 不以懈倦야 廣欲救濟諸危厄難이라 시니 故知如法如

선종영가집언해 권하:51ㄴ

行을 是名精進이로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精은 섯근 주009)
섯근:
섞은. -[混]+은.
업수믈 주010)
업수믈:
없음을. 없-[無]+우+ㅁ+을.
니시고 進은 게으르디 아니호 니시니 데 道證 주011)
도증(道證):
도(진리)를 깨달아 지님.
호 求샤 二利 주012)
이리(二利):
자신을 이롭게 하는 것[自利]과 남을 이롭게 하는 것[利他].
 兼行샤미니 經에 니샤 經典을 讀誦호 게으르디 아니야 너비 여러 어려운 厄難 주013)
액난(厄難):
재앙과 환란.
 救濟호리라 시니 그럴 法다이 주014)
법(法)다이:
법답게. 법(法)+-[如]+이(부사화접미사). 다〉다이. ㅂ변칙활용.
行호 이 일후미 精進인  아롤 띠로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정(精)은 섞은 것이 없음을 말하고 진(進)은 게으르지 아니함을 말함이니, 뜻에 도를 깨달아 지니기를 구하시어 이타(利他)와 자리(自利)를 겸하여 행하심이니, 경에 이르시되, “경전을 독송하되 게으르지 아니하여 널리 여러 어려운 재앙과 환난을 구제하리라.” 하시니, 그러므로 법답게 행함을 이 이름이
(=이름하여)
정진(精進)인 것을 알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지도(至道):지극한 도.
주002)
브즈러니:부지런히. 브즈런-[勤]+이(부사화접미사). ‘’가 생략됨. 부즈런-〉부지런하-. 구개모음화.
주003)
머리옛 블:머리에 붙은 불. 머리[頭]+예/에+ㅅ+블[火]. 블〉불. 원순모음화.
주004)
구(救)야:구하듯 하여. (불을)끄듯 하여. 구 야〉구 야. ‘’ 생략, 음운 축약.
주005)
내:자신, 스스로.
주006)
찰라(刹那):매우 짧은 시간.
주007)
:사이. 중세국어에서 두 사람 사이에는 ‘’가 쓰이고, 세 사람 이상의 사이에는 ‘서리’가 쓰임.
주008)
그춤:그침. 끊어짐. 그츠-[止]+우+ㅁ.
주009)
섯근:섞은. -[混]+은.
주010)
업수믈:없음을. 없-[無]+우+ㅁ+을.
주011)
도증(道證):도(진리)를 깨달아 지님.
주012)
이리(二利):자신을 이롭게 하는 것[自利]과 남을 이롭게 하는 것[利他].
주013)
액난(厄難):재앙과 환란.
주014)
법(法)다이:법답게. 법(法)+-[如]+이(부사화접미사). 다〉다이. ㅂ변칙활용.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