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10 발원문(發願文)
  • 제10 발원문 002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0 발원문 002


선종영가집언해 권하:130ㄱ

稽首湛然眞妙覺이신 甚深十二修多羅ㅣ 非文非字非言詮이샤 一音이 隨類샤 皆明了노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湛然眞妙覺 주001)
담연진묘각(湛然眞妙覺):
맑고도 진실로 미묘한 깨달음.
이신 甚深 주002)
심연(甚深):
매우 깊은. 깊고 깊은.
十二修多羅 주003)
십이수다라(十二修多羅):
수다라는 경전의 뜻. 십이수다라는 12부의 경전을 의미함. 부처님의 말씀을 성질과 형식에 따라 열둘로 나눈 것. 1)수다라 - 산문체 경전. 2)기야 - 산문체 경전 뒤에 그 내용을 운문으로 노래한 것. 3)수기 - 문답 해석하고 제자들이 어느 곳에 날 것인가를 예언한 것. 4)가타 - 사언, 오언, 칠언의 운문. 5)우다나 - 묻지 않았는데도 부처님 스스로 말씀하신 것. 6)니다나 - 부처님을 만나 법을 들은 인연을 말한 것. 7)아바다나 - 비유를 사용하여 은밀한 교리를 명백하게 한 것. 8)이제왈다가 - 부처님이나 제자들의 과거세의 인연을 말한 것. 9)사다가 - 부처님 자신의 과거세에 행하던 보살행을 말한 것. 10)비불략 - 방정하고 광대한 이치를 말한 것. 11)아부달다마 - 부처님께서 나타내 보이신 불가사의한 신통력을 말한 것. 12)우바리사 - 교법의 뜻을 논의하고 문답한 경문을 말함.
ㅣ 文 아니며 字 아니며 言詮 주004)
언전(言詮):
말씀.
아니샤 一音이 類 조샤 다 기 알에 주005)
알에:
알게. 알-[了]+에/게. ㄹ 아래서 ㄱ약화.
시닐 주006)
시닐:
하시는 일. -+시++ㄴ+일.
稽首노다 주007)
노다:
하옵니다. -+++오++(상대존대선어말어미)+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맑고도 진실로 미묘한 깨달음이신 깊고 깊은 12수다라가 문장도 아니며 문자도 아니며 말씀도 아니시어 한 음성이 부류를 따라 다 훤히 알게 하시는 일에 머리를 숙이옵니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達摩 此云法이시니 略有二義시니 一은 自體 名法니 如히 證諸法샤 遠離他性실 故로 曰湛然이오 二 軌則을 名法니 法이 有軌範샤 開生物解실 故로 曰甚深이오 非名句文이실

선종영가집언해 권하:130ㄴ

乃曰一音隨類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達摩 주008)
달마(達摩):
잡고 지켜나가야 할 법칙.
 예셔 닐오매 法이시니 져기 주009)
져기:
대개. 적이. 간략히. 젹-[小]+이(부사화접미사).
두 디 겨시니 나 自體 法이라 일훔니 如히 諸法을 證샤 다 性을 머리 여희실 니샤 湛然이오 둘흔 軌則 주010)
궤칙(軌則):
법칙. 규칙.
을 法이라 일훔니 法이 軌範이 겨샤 주011)
겨샤:
계시어. 있어서. 겨시-[有]+아. ‘이시-[有]’의 주체존대어형으로 쓰임.
物의 아로 여러 내실 니샤 甚深이오 名과 句와 文이 아니실 니샤 一音隨類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달마는 여기서 이르시매 ##‘법(法)이시니 대개 두 가지 뜻이 있으니, 하나는 자체를 법이라 이름 하니 어긋남이 없이 모든 법을 깨달아 얻어서 다른 성질을 멀리 여의므로 이르시되 ‘맑다[湛然]’이고, 둘은 규범을 법이라 이름 하니 법이 규범을 가지고 있어서 중생의 깨달음을 열어 내시므로 이르시되 ‘매우 깊다[甚深]’이고, 이름과 글귀와 문장이 아니므로 이르시되 ‘한 음성이 부류를 따른다[一音隨類]’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담연진묘각(湛然眞妙覺):맑고도 진실로 미묘한 깨달음.
주002)
심연(甚深):매우 깊은. 깊고 깊은.
주003)
십이수다라(十二修多羅):수다라는 경전의 뜻. 십이수다라는 12부의 경전을 의미함. 부처님의 말씀을 성질과 형식에 따라 열둘로 나눈 것. 1)수다라 - 산문체 경전. 2)기야 - 산문체 경전 뒤에 그 내용을 운문으로 노래한 것. 3)수기 - 문답 해석하고 제자들이 어느 곳에 날 것인가를 예언한 것. 4)가타 - 사언, 오언, 칠언의 운문. 5)우다나 - 묻지 않았는데도 부처님 스스로 말씀하신 것. 6)니다나 - 부처님을 만나 법을 들은 인연을 말한 것. 7)아바다나 - 비유를 사용하여 은밀한 교리를 명백하게 한 것. 8)이제왈다가 - 부처님이나 제자들의 과거세의 인연을 말한 것. 9)사다가 - 부처님 자신의 과거세에 행하던 보살행을 말한 것. 10)비불략 - 방정하고 광대한 이치를 말한 것. 11)아부달다마 - 부처님께서 나타내 보이신 불가사의한 신통력을 말한 것. 12)우바리사 - 교법의 뜻을 논의하고 문답한 경문을 말함.
주004)
언전(言詮):말씀.
주005)
알에:알게. 알-[了]+에/게. ㄹ 아래서 ㄱ약화.
주006)
시닐:하시는 일. -+시++ㄴ+일.
주007)
노다:하옵니다. -+++오++(상대존대선어말어미)+다..
주008)
달마(達摩):잡고 지켜나가야 할 법칙.
주009)
져기:대개. 적이. 간략히. 젹-[小]+이(부사화접미사).
주010)
궤칙(軌則):법칙. 규칙.
주011)
겨샤:계시어. 있어서. 겨시-[有]+아. ‘이시-[有]’의 주체존대어형으로 쓰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