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6 우필차송(優畢叉頌)
  • 제6 우필차송 045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6 우필차송 045


依報ㅣ 與空不空과 非空非不空과 相應면 則香

선종영가집언해 권하:21ㄴ

臺寶閣으로 嚴혼 土애 化生리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依報ㅣ 空不空과 非空非不空과 相應면 香臺寶閣으로 莊嚴 주001)
장엄(莊嚴):
화려하게 꾸민. 장식한. 현대국어에서 ‘장엄하-’는 형용사로 쓰이나 중세국어에서 ‘장엄-’는 동사로 쓰임.
해 化生리라 주002)
화생(化生)리라:
태어나리라. 화생(化生)+-+리+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의보가 공 불공과 비공 비불공과 상응하면 향기로운 대(臺)와 보배로운 누각으로 화려하게 꾸민 땅에 태어날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從初成佛야 盡未來際히 相續이 變爲純淨佛土야 周圓無際야 衆寶로 莊嚴에 自受用身이 常依而住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처 成佛호 브터 未來際 주003)
미래제(未來際):
미래 세계의 끝. 미래의 다함. 먼 미래의 끝.
예 盡히 서르 니미 주004)
니미:
이음이. -[續]+오+ㅁ+이(주격조사).
變야 純淨佛土ㅣ 외야 주005)
외야:
되어서. 외-[爲]+야/아. -〉외-〉되-.
두려이 주006)
두려비:
원만하게. 두-[圓]+이(부사화접미사). ㅂ변칙활용.
 업서 衆寶 주007)
중보(衆寶):
여러 가지 보물. 많은 보물.
로 莊嚴 自受用身 주008)
자수용신(自受用身):
마음속의 지혜가 밝고 항상 진리를 비추어 스스로 그 즐거움을 줄기는 불신. 타수용신의 대립어.
이 녜 브터 住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처음 성불함에 따라
(=으로부터)
미래제(未來際)가 다하도록 서로 이음이 변하여 순정한 불국토가 되어서 원만하게 끝이 없어 중보(衆寶)로 화려하게 꾸미되 자수용신(自受用身)이 항상 의지하여 머무르신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장엄(莊嚴):화려하게 꾸민. 장식한. 현대국어에서 ‘장엄하-’는 형용사로 쓰이나 중세국어에서 ‘장엄-’는 동사로 쓰임.
주002)
화생(化生)리라:태어나리라. 화생(化生)+-+리+라.
주003)
미래제(未來際):미래 세계의 끝. 미래의 다함. 먼 미래의 끝.
주004)
니미:이음이. -[續]+오+ㅁ+이(주격조사).
주005)
외야:되어서. 외-[爲]+야/아. -〉외-〉되-.
주006)
두려비:원만하게. 두-[圓]+이(부사화접미사). ㅂ변칙활용.
주007)
중보(衆寶):여러 가지 보물. 많은 보물.
주008)
자수용신(自受用身):마음속의 지혜가 밝고 항상 진리를 비추어 스스로 그 즐거움을 줄기는 불신. 타수용신의 대립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